[사설] 공직 인선 비판, 겸허하게 수용해야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주 검찰총장과 경찰총장ㆍ국세청장 등 3개 권력기관장을 포함한 외청장 인선을 발표했다. 아직까지 정부조직개편안이 통과되지 않아 차관 인선도 미뤄진 일부 부처를 제외하면 박근혜 정부의 장ㆍ차관급 인선이 사실상 마무리된 셈이다.

새 정부의 주요 공직 인선에 대한 첫 느낌은 의아스럽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이 강조해온 원칙을 이번 인사에서는 확인하기 어렵다. 지난달 8일 정홍원 국무총리 내정자 발표 이후 한달, 본인 스스로 중도하차한 김용준 인수위원장의 총리 내정 발표로부터 셈하면 두달 가까운 시일 동안 고심하며 내놓은 인선 결과가 평소 박 대통령의 이미지와 걸맞지 않는다.

당장 '청장의 잦은 교체에 따른 경찰 조직의 동요는 곧 치안공백으로 이어진다'며 경찰청장의 임기를 반드시 보장하겠다던 약속이 5개월 만에 뒤집어졌다. 이런 사례는 무수히 많다. 대기업 관련 사건을 변호해온 로펌(법무법인) 출신 인사가 공정거래위원장에 선임되고 국가미래연구원 출신 인사가 대거 중용됐다. 복지공약의 강행이 재정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며 원칙을 지키면서도 인사에서는 왜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지 모르겠다. 대통령의 참모들은 이런 비판에 '선산'까지 들먹이며 오히려 본질을 흐리고 있다.

우리는 정권 초기일수록 대통령의 인사 권한은 존중 받아야 한다고 여긴다. 국정지도력은 인사권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기에 그렇다. 그러나 그보다 상위에 있는 게 국민과의 약속이다. 인사를 통해 대통령이 강조해온 원칙이 흔들렸다면 그 자체로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남은 길은 인사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하는 데 있다.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제기된 민의를 받아들이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귀를 열고 양보하는 리더십을 보여준다면 국정도 새로운 전기를 맞을 수 있다. 대통령의 참모들은 5년 전과 지금을 비교해보기 바란다. 국민들은 새로운 정부의 소통을 원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