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십자각] 정치의 명분과 책임

열린우리당 의원들의 집단탈당으로 정치권 전체가 요동치고 있다.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을 지냈던 김한길ㆍ강봉균 등 23명의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지난 6일 ‘국민통합신당’ 창당을 내세우며 탈당했다. 이들은 주말 워크숍을 거친 후 다음주 중 원내 교섭단체를 출범시킬 계획이다. ‘참회와 새로운 출발’이라는 탈당 성명을 통해 이들은 “국민의 외면을 책임지고 기득권을 선도적으로 포기함으로써 신당의 밀알이 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정치권에서는 이들의 탈당을 신당창당의 명분보다는 ‘정치적 생존’을 위한 몸부림 정도로 보고 있다. 또 그동안 비난받아온 ‘정치공학적인 접근’에서 나온 탈당과 신당창당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이번 탈당사태를 ‘위장 이혼’과 ‘기획 탈당’으로 보는 시각이 이미 일반적이다. 2ㆍ14 열린우리당 전당대회 이후 새롭게 꾸며질 신당과 대선공간에서 다시 재결합하는 시나리오를 예상한 것이다. 이 같은 조짐은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천정배 의원 등 이에 앞서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7명의 의원들은 주말에 집단탈당 의원들과 교섭단체 가입 여부를 논의한다.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도 “대통합의 바다에서 다시 만나자”고 탈당하는 의원들에게 러브콜을 보냈다. 집단탈당한 의원들의 고민도 이해가 간다. 바닥을 치고 있는 당의 지지율로 볼 때 국회의원으로서, 정당인으로서 고민이 많았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렇더라도 수일 전만 해도 열린우리당의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ㆍ정조위원장ㆍ대변인 등 주요 핵심 당직을 맡았던 사람들이 전당대회 목전에서 집단으로 탈당하는 상황은 상식적이지는 않다. 탈당의원 대부분은 지난해 5ㆍ31 지방선거 이후 당을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운영에 책임을 졌던 사람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실패에 대한 책임의 공유”라는 탈당 성명에도 불구하고 책임 부분이 명확하지 않다. 야당의 지적대로 호박에 줄 긋는다고 수박이 되지는 않는 것이다. 경제는 ‘효율’을 지향하며 사회의 토대를 구축한다면 정치는 ‘명분’을 지향하면서 사회의 상부를 만든다. 또 정치의 명분은 책임지는 풍토 속에서 가능하다. 집단탈당한 의원들이 이 책임 부분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결국 이번 집단탈당도 과거 ‘철새 정치인’의 새로운 변종으로 밖에 받아들여지지 못할 것이다. 아무튼 100년을 가는 정당을 표방하고 지난 2003년 창당된 열린우리당이 불과 3년 여 만에 중대 기로에 서게 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