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F제도 손질 왜하나]대규모 환매따른 유동성위기 차단

금융당국의 머니마켓펀드(MMF) 제도 대폭 손질 추진은 대규모 환매에 따른 투신사 유동성 위기와 지금시장 혼란 가능성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사전적 조치다. 이라크 전쟁위기와 북핵 문제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기침체 우려로 MMF로만 몰려들고 있는 시중자금이 일시에 빠져나갈 경우 투신사가 유동성위기에 빠져들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은 그럴 가능성이 없지만 자칫 시기를 놓쳐 대규모 환매라는 `시한폭탄`이 터지면 투신사 뿐 아니라 금융시장 전반에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 당국의 판단이다. 소규모 MMF를 대대적으로 통합, 대형화를 유도키로 한 것도 펀드들이 환매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게 해 유동성 위기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불어나는 MMF 수탁액과 커지는 잠재위험=지난 1월23일 사상 처음으로 60조원을 넘어선 후 기업들의 설 자금 수요로 56조4,000억원으로 줄었다가 다시 불어나기 시작해 지난달 19일에는 60조8,000억원으로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이후 월말자금 수요가 몰려 일시적으로 빠지기는 했지만 이달들어 다시 60조선을 넘어섰다. 문제는 MMF가 초단기 대기성 자금이어서 언제든지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 지금처럼 금리가 하향세를 유지하고 증시나 경기가 침체에 있을 때는 별 문제가 없지만 금리가 상승하고 경기가 호전될 조짐을 보이면 일시에 환매가 이루어지면서 투신사들이 대처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MMF 대형화로 유동성위기 막는다=금융당국이 소규모 MMF를 대대적으로 통합키로 한 것은 환매에 따른 펀드의 유동성위기가 중소형 펀드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대형화에 환매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소규모 펀드의 경우 규모가 작아 몇 명만 한꺼번에 환매를 신청해도 펀드의 안전성을 해칠 수 있다. 실제로 현재 국내 투신운용사의 MMF당 평균설정액은 1,500억원이 채 안된다. 채권거래가 100억원 단위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 15건의 거래로 펀드 자산 자체가 바닥날 수도 있다. 금융당국이 소규모 펀드를 통합하고 패밀리펀드 제도를 도입해 대형화를 유도하기로 한 것도 이 같은 문제점 때문이다. 여기에 환매사태가 단순히 투신사 유동성위기에 그치지 않고 자금시장 전반의 동요로 확산될 경우 걷잡을 수 없다는 우려도 MMF제도를 대폭 개선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LG경제연구원은 최근 “MMF에 과도하게 단기자금이 몰리고 있어 금리가 급등할 경우 대규모 환매사태와 함께 자금시장 전반에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투신업계 영업타격 불가피=투신업계는 금융당국의 MMF개선안에 대해 근본 취지에는 공감을 하면서도 영업활동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긴장하고 있다. 특히 중소형 투신사의 경우 그렇지 않아도 출혈경쟁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데 소규모 펀드설립을 제한할 경우 생존기반 자체가 위협을 받을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또 투신사마다 펀드대형화 등 자체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데 당국이 나설 필요가 있느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중소형 투신사의 한 관계자는 “현재도 업체간 자금유치 경쟁이 치열해 이익을 거의 내지 못하고 있는데 대형펀드 위주로 MMF펀드 상품이 재편되면 수익성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업체간 영업행위를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송영규기자 skong@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