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기술 만난 한국형 달탐사 로봇 '로버'

항우硏, 우주 인터넷 등 출연硏 융합연구 성과 발표
장애물 인식·보호 SW 탑재
초경량 휠·위치센서도 장착

한국형 달탐사 로봇인 로버(Rover)가 진화한 중간 단계 모습이 베일을 벗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주도로 개발되는 로버는 2020년 달로 날아갈 예정이다.

20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최한 '한국형 달 탐사 출연연 융합연구 및 우주핵심·기초연구 성과 발표회'에서는 KIST가 주도하는 로버의 중간 단계 모습이 공개됐다. KIST가 지난해 말 개발을 마친 뒤 올 2월 공개한 하드웨어에 각 정부 출연연구원에서 개발한 장치들을 융합한 형태다.

로버에는 자동차부품연구원에서 개발한 초경량 휠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만든 위치센서가 추가 장착됐다. 여기에 KIST가 달 표면에서 로버가 장애물을 인식하고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넣었다. 한국형 로버 융합연구에는 KIST를 비롯해 항우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료연구소, 자동차부품연구원 6개기관이 참여한다.

로버 기술검증모델 개발을 책임지는 이우섭 KIST 박사는 "지구에서 달에 신호를 보낸 뒤 다시 받는 데 7초가 걸리는데 그 사이에 로버가 장애물에 부딪쳐 넘어지지 않도록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했다"며 "올해부터는 다른 출연연의 도움을 받아 융합 기술을 장착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주행 능력이 뛰어나고 달 표면 온도(-170도~+130도)에서도 열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는 로버 제작에 초점을 맞춘다. 울퉁불퉁한 달의 지형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휠을 여섯 개나 이용하며 몸체도 두 개로 분리했다. KIST에서 개발한 위험작업 로봇 롭해즈(ROBHAZ)의 설계를 응용했다. 로버의 무게는 20kg 수준이며 최대 이동속도는 1초당 4cm이다. 한국형 로보는 미국 등에서 현재 사용 중인 무인 탐사 로버보다 달탐사에 더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이날 발표회에서는 국내 17개 출연연과 대학교 연구책임자가 모인 가운데 ▲달 탐사선 기본 형상의 개념설계결과 ▲우주인터넷 구현 가능성 연구결과 ▲로버 자율주행에 관한 연구 결과 등을 발표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