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부 출범 이후 지난해 3월 정부조직법이 바뀌면서 행정안전부는 안전행정부로 이름을 바꿔 달았다. '국민이 안전해야 국민이 행복하다'는 현정부의 의지를 담아 국민안전에 주안점을 두기 위해 부처이름까지 바꾼 것이다.
실제 지난해 각종 재난이나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모두 6,757명으로 지난 2012년의 7,233명과 비교하면 476명(6.5%) 줄어들었다.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던 것이 지난해 한풀 꺾였다는 점에서 정부의 안전관리 대책이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지난해 서울시 노량진 배수지 수몰사고부터 이번 경북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강당 붕괴사고에 이르기까지 후진국형 안전사고가 매달 한 건 이상 터지면서 정부의 안전관리 대책이 겉돌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8일 정부에 따르면 사고가 난 경주 지역은 지금까지 겨울에 눈 구경을 하기가 어려울 정도라서 폭설 관련 대책이 전무할 정도로 안이한 구석이 없지 않았다. 실제 건물 지붕의 적설하중 기준은 다른 지역에 비해 최대 14배나 낮다.
대관령의 경우 ㎡당 적설하중이 700㎏이지만 경주는 50kg에 불과하다. 정부에 멀리 내다보는 안목이 있었다면 이상기후에 대비해 수년 전에 이 기준을 강화했어야 한다. 폭설예보 발령 직후에라도 바로 지자체에 지붕점검 강화와 사용중단을 경고해야 했는데 사고가 난 다음에야 안전점검을 강화하라고 뒷북조치에 나선 게 전부다. 공무원들의 역량이나 상상력이 먼 미래의 위험을 대비할 만큼 뻗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안전사고가 나도 실무자들만 희생양이 되는 관행도 사고재발을 막지 못하는 주요 원인이다.
손기상 서울과기대 안전공학과 교수는 "안전사고가 해마다 되풀이되는 이유 중 하나는 회사가 아닌 개인을 처벌하는 제도"라며 "회사 입장에서는 사고가 터지면 안전관리자 하나 내보내고 다시 채용하면 그만"이라고 지적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무엇보다도 안전위험이 있는 현장에는 안전수칙이라는 게 있는데 각 부처는 그 수칙들이 지금의 환경과 잘 부합되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고 보완할 것이 있으면 하면서 앞으로 이 수칙들이 현장에서 철저히 지켜지도록 교육하고 감독해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