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층 경제적 노후준비 보통 수준…100점에 47점

국내 중장년층(35~64세)의 경제적 노후준비상태가 100점에 47점 수준으로 분석결과가 나왔다.

1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윤경 부연구위원의 ‘경제적 노후 준비 실태 및 정책과제’ 보고서를 보면, 보건복지부가 2012년 개발한 노후준비 진단지표에 따라 3천70명(남성 1천546명, 여성 1천524명)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재무·건강·대인관계·여가 등 4개 영역에 걸쳐 노후준비실태를 설문조사 방식으로 점검했다.

이 중에서 경제적 노후준비 정도를 보여주는 재무영역은 예상 은퇴연령, 은퇴 후 소득활동의 안정성, 제2의 일에 대한 준비, 노후필요 생활비에 대한 인식, 공적연금· 퇴직연금·개인연금·금융자산·부동산 등 자산현황 등 12개 항목에 걸쳐 조사했다.

분석결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상태는 재무영역은 총점수 100점 만점에 평균 47점 수준으로 여가영역(46.1점)과 비슷했고, 대인관계영역(60.5점), 건강영역(75점)에 견줘서는 현저히 낮았다.

재무영역의 노후준비 수준은 60.7점 이상이면 높은 수준(상)이며, 33.5점~60.6점 이하는 보통 수준(중), 33.4점 이하는 낮은 수준(하)으로 분류된다.

특히 재무영역의 노후준비 정도를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성·연령·학력·직업별로 차이를 보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49.8점으로 여성(44.4점)보다 노후재무준비 수준이 높았다. 남성이 여성보다 소득활동 인구가 많기 때문이다.

연령별로는 40대(40~49세) 49.8점, 50대(50~59세) 47.9점으로 30대(35~39세) 46.8점, 60대(60~64세) 37.2점에 비해 높았다.

이 연구위원은 60대의 경제적 노후준비 수준이 특히 낮은 원인을 이들 세대가 이미 은퇴했을 가능성이 커 노후준비여건이 떨어지고, 공적연금과 개인연금 등의 연금준비상태가 부실한 데서 찾았다.

학력별로는 대학 재학 이상 52.3점, 고졸 46.3점, 중졸 이하 39.2점 등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상태별로는 미혼(41.3점)보다 기혼(48.8점)이 높게 나왔다.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 56.4점, 판매서비스 51.8점, 농임어업 49.1점, 블루칼라 48.9점, 미취업 30점 등으로, 연금제도나 퇴직금제도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자리 잡은 화이트칼라의 경제적 노후준비 수준이 높았다.

이 연구위원은 “현실적으로 노후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불안해하는 국민을 위해 정년연장, 재고용 등 고령층 고용개선과 소득보장에 힘쓰고 노후준비 설계서비스 제공 같은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