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생 10명중 8명 '나도 실업자 될 수 있다'

우리나라 고교생의 절반은 경제발전을 위해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꼽으면서도 정부가 경제에 기여한다고 생각하는 고교생은 100명 중 5명에 불과해 경제주체 중 꼴찌를 차지했다. 또 청년실업난이 지속되면서 고교생 10명 중 8명 가량이 자신의 실업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어 실업에 대한 두려움이 구직자만이 아니라 고교 교실까지 뻗쳐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서울시내 고교생 7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8일 발표한 '고교생 경제인식 조사'에 따르면 경제가 성공하기 위해 가장 잘해야하는 경제주체를 물은 결과, 정부라는 응답이 49.7%로 가장 높았으며 국민(26%), 기업(14.5%), 대통령(3.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경제성장과 발전 기여도가 큰 경제주체로는 기업(35.9%)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국민(23.2%), 외국인 투자자(17.9%), 근로자(15.0%), 정부(4.9%) 순으로 응답했다. '본인도 실업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대해 '별로 그렇지 않다'(15.8%) 또는 '매우 그렇지 않다'(6.2%) 등 부정적인 응답은 22%에 그친 반면 나머지 78%는 '매우 그렇다'(28.8%) 또는 '대체로 그렇다'(49.2%)는 답변을 했다. 또 우리경제의 가장 큰 취약점으로는 실업문제(36.5%), 빈부격차(35.7%), 노사문제(19.8%), 기술부족(4.5%), 가계부채(3.5%) 순으로 응답해 실업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경제가 잘 된다'는 의미에 대해서는 36.3%가 '빈부격차 해소'라고 응답했으며 '국민소득이 높아지는 것'(28.9%), '완벽한 복지제도'(20.4%), '완전고용'(14.4%)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한편 '사회생활에 필요한 신용(금융) 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68.7%가 부정적으로 응답했으며, 용돈을 계획적으로 지출하거나 금전출납부를 기록한다는 응답도 각각 35%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64%는 자신의 신용불량자 가능성을 부인했으며, 54.4%는 신용불량자가 되더라도 다시 신용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혀 신용불량자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의 관계자는 "이런 현상은 경제교육 비중이 크지 않음은 물론이고 경제교과서내에서도 신용관련 교육내용이 비중있게 다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잠재적 신용불량자 양산의 사전 예방 차원에서도 신용(금융)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장래 희망직업과 관련, 교사가 22.7%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기업가(13.5%), 공무원(10.2%), 예술가(10.0%), 언론 및 방송인(8.6%) 등이 이었다. 과학자를 선택한 학생은 0.2%에 불과해 이공계 기피현상을 그대로 드러냈다. 또 조사대상 학생의 83.0%는 '기회만 된다면 해외로 나가서 고등학교 교육을 받고 싶다'고 응답했으며 그 이유로는 △외국어능력 향상(25.6%) △국내 교육내용의 불만(25.4%) △선진문화 경험(23.1%) △수능시험 부담감(20.1%) 등을 들었다. 【서울=뉴시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