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상승ㆍ경기부양이 물가에 걸림돌

이달 소비자물가가 지난달에 비해 0.6%나 오른것으로 집계되면서 물가안정에 적신호가 켜졌다.물론 물가에는 계절적 편차가 크고 단순하게 추론하는데도 무리가 있지만 0.6%라는 상승률은 연간으로 치면 7%대에 이르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1월 전월대비 1.1% 급상승했지만 지난달에는 0.2% 소폭 상승에 그쳐 국민들의 불안감을 어느정도 씻어줬다. 그러나 이달 다시 급등세로 반전된데다 주변여건도 물가의 안정기조를 흔들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불안감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이달 물가 왜 크게 올랐나 = 교육비 인상이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사립대 납입금은 전월 대비 7.1%,국공립대는 6.6%,유치원은 9.6% 오르면서 교육비가 이달 소비자물가 상승률 0.6% 가운데 절반 가량인 0.31%p를 차지했다. 물론 대학 납입금의 경우 정부가 인상을 억제해 5%대로 낮췄고 이달 말부터 환불에 들어간 만큼 이를 제외한다면 기여도가 0.07∼0.08%p 정도 줄어든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또 농축수산물 가격도 물가 상승에 0.21%p 기여했다. 이는 광우병과 구제역 파동으로 닭고기 등 쇠고기 대체육의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 밀감 등이 끝물인데다 올해 초 폭설로 인한 비닐하우스 피해로 대체과실인 딸기, 토마토 등의 공급이 준것도 한몫 했다. 고등어는 해류 문제로 수확량이 줄면서 가격이 올랐다. 지난해 말과 지난 1월 결정된 상.하수도 요금의 인상도 이달 물가상승률에 0.10%p를 덧붙였다. ▲물가 목표치 지킬 수 있나 = 올해 정부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 목표치는 3%대이지만 지킬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현재 논란이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해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4%로 전망했으나 지난달 4%대로 높였고 LG경제연구원도 전망치 상향조정에 들어간 상태다. 이처럼 민간경제연구소에서 물가에 대해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환율이 최근 상승하고 있는데다 추가적인 경기부양책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은 지난해 말 1천200원대에서 현재 1천300원대에 들어서 16% 이상 상승한 상태다.일반적으로 원화환율이 10% 오르면 물가에는 1.5%p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재정경제부는 환율상승으로 인해 수입원자재 가격이 올랐지만 경기침체때문에 공산품의 수요가 부진한데다 유가도 안정돼 있는 만큼 앞으로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지 않는다면 물가에는 큰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오갑원 재경부 국민생활국장은 "환율이 현재 수준에서 크게 오르지 않는다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목표치 3%는 지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앞으로 금리인하와 감세,추경예산 편성 등 경기부양책이 추가로 시행될 경우에는 두마리 토끼를 잡기 어려운 만큼 정부의 물가목표치 준수는 '물건너 갈'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지적이다. 또 정부가 상반기에 억제하기로 한 중앙 및 지방공공요금도 하반기에는 인상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잠재적 불안요인이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