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장기금리 움직임에 달렸다

약달러기조 연말부터 변화 원화강세 대비 필요…정부개입 여지는 있어


원ㆍ달러 환율이 22일 1,000원대까지 수직 하강하면서 하향곡선이 언제까지 이어질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환율하락이 시장 참여자들은 물론 통화당국조차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숨가쁘게 진행되면서 환율의 움직임을 분석하기가 매우 힘들어진 게 현실이다. 문답 형식으로 환율의 향후 방향성을 관측해본다. -달러화 약세기조가 완전히 바뀐 것인가. ▲지난해 12월부터 미미한 변화가 생기고 있다. 조지 부시 대통령이 재정적자를 줄이겠다고 발언한 데 이어 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경상수지 문제에 대해 낙관한다고 발언했다. 이후 달러화가 반등하며 강세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유로화는 달러에 비해 4.3% 절하됐으며 엔화는 약보합세를 이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달러화가 유로화에 비해서는 약세를, 엔화에 비해서는 강세를 보이는 등 혼조세를 띠고 있다. 당분간 이 같은 박스권 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당분간 달러화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는가. ▲관건은 미국의 장기금리가 어떻게 움직이느냐이다. 그린스펀 의장이 지난주 정책금리를 올리는데 장기금리가 안 올라가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현재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금리는 오르지 않고 있다. 만약 미국 장기금리가 올라갈 경우 미국의 금리가 G7국가 중 높아지기 때문에 달러 강세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현재는 달러 혼조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연초에 강세를 보였던 측면을 당분간 유지하는 것 같다. 달러강세가 이어질 경우 원화환율도 진정될 것이다. -한국이 경기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데 원화강세에 대비해야 하는 것 아닌가. ▲달러가 일방적으로 약세로 안 갈 것이기 때문에 속단하기 이르다. 특히 국내경기가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다고 하지만 소비가 다소 살아날 조짐을 보이는 것이지 설비투자는 여전히 저조한 수준이다. -외환위기 전 상황과 비교한다면. ▲(환율 수준은 비슷하지만) 당시에는 외환위기를 맞기 직전 환율절하 압력을 막고 있었다. 경상수지는 적자였고 내수경기는 괜찮아 성장률이 높은 상황이었다. 지금은 거꾸로 환율이 내려가는 상황이다. 경상수지는 흑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경기는 아직 부진한 상황이다. -정부가 개입할 여지가 없는 것 아닌가. ▲개입에 대해 언급하기는 곤란하다. 다만 급락하고 있는 환율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운신의 폭이 없는 것은 아니다. /김민열기자 mykim@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