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국 금리인상 임박설… 글로벌경제 요동 대비해야

미국의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이 한국 경제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10일 코스피지수는 전날 20.12포인트 하락하며 2,000선이 붕괴된 데 이어 8.05포인트 하락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도 달러당 1,122원60전으로 전 거래일 종가보다 10원50전 오르며 이틀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날에도 미국의 고용지표 호조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6월로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유력하게 제기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3원40전이나 올라 올 들어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신흥국에서는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자금유출 공포가 높아지는 등 후폭풍이 대단하다. 특히 브라질과 멕시코 등 이머징마켓 통화들은 급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글로벌 경제의 디커플링(비동조화)까지 심해질 조짐이다. 미국 경제는 경기회복이 완연한 반면 경기둔화에 가위눌린 신흥국 경제는 금리정책의 여력마저 상실해 더 깊은 수렁으로 빠져들 운명에 처했다.

저물가·저성장의 덫에 걸린 한국 경제도 안심할 수 없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원·달러 환율 상승과 함께 자본유출 등 금융 변동성이 확대될 뿐 아니라 글로벌 유동성 축소에 따라 국내 투자와 소비가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 경제 활성화의 유력한 방편으로 거론되는 금리 인하 카드는 내밀기조차 어려워진다. 더 나아가 시중금리 상승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르고 빚을 못 갚아 경매로 넘어가는 주택이 많아지면 부동산 가격 폭락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정부의 예방대책이 시급하다. 당장 환율이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도록 금융·외환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컨틴전시플랜을 확고히 정비해야 한다. 1,1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의 잠재적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정책 처방도 필요하다. 보다 중요한 것은 기업활동에 활력을 불어넣는 일이다. 규제를 과감하게 풀고 고비용·저효율 생산구조를 해소해 외부 충격을 흡수해나갈 수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