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구이동률 14.9%…38년만에 최저

서울 10만4,000명 순유출 1위

지난해 인구이동률이 197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인구이동 수 역시 6년째 줄면서 1979년 이후 처음으로 700만명 대로 내려앉았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2년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읍ㆍ면ㆍ동 경계를 넘어 이동한 사람은 750만7,000명으로 1979년(732만4,000명) 이후 가장 적었다. 전년보다는 7.6%(62만명) 줄었다. 인구 100명 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지난해 14.9%로 전년보다 1.3%포인트 감소했으며 1974년(15.3%) 이후 38년 만에 가장 낮았다.

지난해 인구이동 감소는 경기침체로 주택시장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지난해 주택거래량이 전년보다 26만4,000건 감소했는데 감소 1건당 2~3명만 잡아도 전년 대비 감소분(62만명)의 대부분이 설명된다”고 말했다.

중장기 측면에선 고령화가 영향을 미쳤다. 이동 성향은 결혼과 취업 적령기인 20~30대에서 가장 높은데 이 계층의 인구는 2002년에 견줘 227만명 줄었다. 같은 기간 60세 이상 인구는 253만명 늘었다. 산업화ㆍ도시화가 완료 단계에 접어들고 교통ㆍ통신이 발달한 점도 추세적으로 인구 이동률을 낮추고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권역별 순이동(전입-전출)은 중부권과 수도권이 전입 초과였지만 영남권과 호남권에선 전출 초과를 보였다. 부권(대전ㆍ세종ㆍ강원ㆍ충북ㆍ충남)의 순이동은 3만3,000명으로 2011년(3만5,000명)에 이어 4대 권역 가운데 순유입이 가장 많았다. 수도권 규제를 피해 기업체의 투자가 몰리는 등 반사 이익을 누린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서울ㆍ인천ㆍ경기)은 2011년 통계 작성 최초로 순유출(-8,000명)을 기록했으나 지난해 7,000명으로 순유입을 회복했다. 호남권(광주ㆍ전북ㆍ전남)은 -1만명, 영남권(부산ㆍ대구ㆍ울산ㆍ경북ㆍ경남)은 -3만5천명으로 20대 인구가 수도권과 중부권으로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순유입은 경기가 8만3,000명으로 규모가 가장 컸다. 인천(2만8,000명), 세종(1만7,000명) 등의 유입도 많았다. 경기 전입자의 54.4%는 서울에서 들어온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서울은 -10만4,000명을 기록해 순유출 1위를 차지했으며 부산(-2만1,000명), 대구(-1만1,000명) 도 인구가 빠져나갔다. 서울 전출자의 60.1%는 경기로 유출됐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