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공헌 앞장서는 공기업] "국민에 더 가까이" …나눔경영 확산

소년·소녀가장 지원 기본, 지역 문화행사 적극 후원
회사차원 봉사단 가동도



‘사회공헌이 좋은 기업을 만든다’ 사회공헌이 기업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그동안 기업은 좋은 물건을 만들고 장사를 잘 해서 이윤을 남기고, 또 이를 투자해 많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으로 역할을 다한 것처럼 인식돼 왔다. 하지만 요즘은 여기에 기업의 사회적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기술의 발달과 서비스 수준의 향상으로 기업들의 제품, 서비스간 차이는 점차 줄어들면서 소비자들이나 투자자들은 이왕이면 ‘좋은 상품’과 더불어 ‘좋은 회사’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많은 공헌을 해 좋은 이미지를 형성한 기업이 일차적인 선택대상이 되는 시대다. ◇사회적 투자(Social Investment)가 화두 = LG경제연구원의 정지혜 선임연구원은 “소비자와 투자자의 기업 선택에서 ‘사회공헌’에 대한 요소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사회에 공헌함으로써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는 기업을 지지하고 이 기업들의 제품을 소비자들이 찾는다는 얘기다. 달리 말하자면 자신들이 지출한 돈이 최종적으로 사회공헌에도 쓰이기를 희망하고 있다는 것.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도 사회 공헌은 빼놓을 수 없는 항목이 되고 있다. 기업문제를 연구하는 연구소인 코레이(KorEI)는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는 기업의 비결로 ▦사회공헌 ▦투명성 제고 ▦환경경영 ▦지배구조 개선 ▦인권존중 등의 항목을 꼽았다. 더불어 나눌 줄 아는 낮은 자세를 갖춘 기업이 돼야 영속 가능하다는 얘기다. 공공의 이익 창출에 상대적으로 더 큰 무게중심이 실려있는 공기업에게 있어 사회공헌은 더욱 각별한 의미로 다가온다. 민간기업과 달리 국민들이 낸 세금과 정부의 지원으로 독점적인 사업영역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기업 혁신의 핵심 축도 윤리경영, 투명경영이 이제는 ‘나눔경영’으로 옮겨오고 있다. 사회적 공헌정도에 따라 국민 신뢰와 생존경쟁력의 확보가 가능해지고 있어서다. 공기업들의 경영성과와 혁신을 평가하는 기획예산처가 ‘고객만족도’의 주요 평가요소로 ‘사회적 만족도’를 포함시킨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공헌·봉사 등에 대한 평가’가 공공기관 평가에서 20%의 비중을 차지할 정도다. 사회 공헌정도가 낮으면 국민들의 등돌림을 감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관장은 물론, 임직원들의 연봉도 깎이는 시대다. ◇사회공헌에 앞장서는 공기업들 = 변화의 물결을 인지한 많은 공기업들도 사회공헌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한전은 전국사업소마다 소외계층을 위한 봉사단운영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봉사활동 1시간에 1점을 주는 마일리지제도까지 도입할 정도로 적극적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역사회봉사단'을 창설하며 잘사는 지역, 함께하는 공동체 건설에 나서왔다. 원자력발전소 본부별로 개최하는 다양한 지역문화행사가 인기다. 석유공사는 에너지 공급기업답게 ‘석유사랑 장학사업’ 등의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추진해왔다. 협력사와의 투명사회협약 체결도 자랑거리다. 가스공사도 별도의 팀을 구성, 사회복지, 문화예술, 자매결연 등 다채로운 봉사활동을 벌여왔다. 1,300여명의 직원이 불우이웃과 1인1결연을 통해 지정기부금 사업을 해오고 잇는 점이 특징이다. 지역난방공사는 강원도 정선군 등 각 지역사회와 꾸준한 인재양성 결연사업을 벌이고 ‘한난행복나눔단’이란 봉사단을 조직해 전 직원 참여로 봉사활동을 벌여나가고 있다. 농촌공사는 지역주민들과 '벚꽃축제' 등 다채로운 행사를 펼치는 한편, 사내동아리 단체를 주축으로 정식출범시킨 사회봉사단을 통해 소외계층 돌보기에 앞장서 왔다. 농수산물유통공사도 ‘aT사랑나눔단’을 통해 사회공헌활동을 체계화한데다 ‘아름다운 가게’와 연계한 불우이웃 돕기 활동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 자산관리공사는 '사회공헌 마일리지'로 임직원의 사회봉사활동을 장려하고 사회봉사를 위한 활동시간에 유급휴가를 인정해주는 제도도 마련해 놓았다. 전기안전공사도 임직원이 참여한 사회봉사단을 구성, 다양한 봉사활동에 앞장서는 한편, 폭설피해복구지원, 생필품배달, 장기기증 운동 등을 펼쳐오고 있다. 이들 기업 대부분은 오래 전부터 별도의 사회공헌 전담조직을 구성해 운영해 온데다 사회복지를 위한 지출규모도 크게 늘리고 있다. 활동영역도 단순히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소년소녀가장, 독거노인 등 저소득계층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기반과 밀착한 활동에까지 영역을 아우르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