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군기자 피터 아넷 방한

1991년 포연이 자욱한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서방기자로는 유일하게 생방송 뉴스를 전한 전설적 종군기자 피터 아넷(66)이 14일 한국언론재단의 초청으로 내한했다. 그는 70년대 북한과 남한을 일 주일씩 방문해 김일성 주석과 박정희 대통령을 차례로 면담하기도 했으며 베트남, 중남미, 중동 등 분쟁현장의 최일선에서 41년간취재를 해왔다. 그는 16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국내 언론사 기자들과 가진 조찬간담회에서 “미국 언론의 보도가 9ㆍ11 테러를 겪으며 감정에 치우쳤다가 최근 균형감각을 회복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한국의 이라크 파병에 대해서는 “이라크가 안정을 찾는 데 한국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찬성 의사를 표시했다. 피터 아넷은 맨 먼저 기술의 발달과 미디어 환경변화에 대해 언급하며 말문을 열었다. “10여년 전 이라크에서 CNN을 통해 전황을 전할 때는 제가 유일한 서방기자였지요. 올해 걸프전에서는 40∼60개 서방 매체들이 위성으로 뉴스를 보내고 있더군요. 이제는 뉴스만 있으면 언제든지 보도할 수 있는 시대가 됐고 정보의 선택 기회도 그만큼 넓어졌습니다.” 그는 이러한 미디어의 발달이 미국의 정책 결정과정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그의 말은 전쟁보도의 변화를 소개하는 대목으로 이어졌다. “2차대전 때는 정부와 군 당국의 검열과 통제가 절대적이었습니다. 기자도 군복을 입어야 했고 연합군에 유리한 전황만 보도할 수 있었지요. 베트남전 때도 정부는 마찬가지 통제를 시도했지만 상황은 달라졌습니다. 시민운동과 인종갈등, 쿠바위기등을 겪은 젊은 기자들이 투입되면서 베트남전의 책임을 묻고 세금이 제대로 쓰이는지를 따지기 시작했지요. 90년대까지 미 정부는 `언론이 정부에 도전한다`고 못마땅해했고, 언론은 `진실을 말할 의무가 있으며 잘못된 정책은 바꿔야 한다`고 생각해 불편한 관계가 계속됐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는 이전으로 돌아간 느낌이었습니다. 언론이 표현의 자유보다 국가 안보를 더 중요시하게 된 거지요.” 피터 아넷은 중립적이라고 자부해온 미국 언론이 이렇게 바뀐 계기를 9ㆍ11 테러로 들고 있다. 주요 언론사가 밀집한 뉴욕에서 대규모 참사가 일어나자 이를 직접 목격한 언론인들이 감정에 치우쳐 보도에 색깔을 집어넣게 됐다는 것이다. 한국의 이라크 파병에 대해서는 “미국은 많은 국제적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한국의 파병은 여기에 동참하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면서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30년 독재에서 해방된 이라크 국민의 기대를 충족시켜줄 의무가 있으며 한국도 적절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믿는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현재 이라크 국민이 독재에서 해방된 것을 기뻐하고 있으나 미국에 대해서는 좋지 않은 감정을 갖고 있으며 하루빨리 민주정부가 들어서 안정을 찾지 않으면 반미 분위기가 확산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고광본기자 kbgo@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