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연 혁신위 "사무총장·최고위원 폐지"

비노 "당대표 기득권 강화" 반발
혁신안 추인 과정서 마찰 빚을듯

김상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장이 8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최고위원제 폐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제2차 혁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최고위원제와 사무총장직을 계파 갈등의 뿌리로 지목하고 폐지하도록 하는 혁신안을 발표했다. 정청래·주승용 최고위원의 공개 설전과 최재성 사무총장 임명을 둘러싼 문재인 당 대표와 비노인 이종걸 원내대표의 불화 등 최근 발생한 당 내홍의 원천지를 뿌리 뽑겠다는 의도다. 하지만 당 대표와 지도부의 기득권 내려놓기 등 본질은 건드리지 못한 채 '애꿎은 제도'를 폐지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어 혁신안 추인 과정에서 잡음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비노 진영에서 "최고위원제도를 없애면 당 대표를 견제할 사람이 없다"고 반발하고 있어 계파 갈등 해소를 위한 혁신안이 되레 계파 갈등을 부추기는 모양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차 혁신안을 발표했다. 혁신위는 현 지도부가 계파 대리인의 권력 각축장으로 전락했다며 내년 4월 총선 직후 현 최고위원제를 폐지하고 지역·세대·계층·부문별 대표로 구성되는 새로운 지도부로 개편하도록 했다. 또 사무총장 대신 총무·조직·전략홍보·디지털·민생생활본부장 등 5본부장 체제로 개편하고 각 본부장은 공천기구에서 배제하기로 했다. 또 현역 의원들의 공천 심사 일부를 담당하게 될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를 100% 외부인사로 구성하고 위원장은 당 대표가 임명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혁신위는 사무총장직 폐지와 관련해 오는 20일 열리는 중앙위원회에서 당헌을 개정하고 중앙위 직후에 개최되는 당무위원회에서 당규 개정을 통해 즉각 시행하기로 했다. 단 최고위원제도 폐지는 20대 총선을 앞두고 당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며 차기 총선 이후 새로운 전당대회를 열어 확정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문 대표는 "혁신위가 발표한 혁신안을 존중한다"며 "강도 높은 혁신을 받아들이기로 한 만큼 당무위원회나 중앙위원회에서 혁신위의 혁신안들을 잘 인준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대표가 혁신안 추진 방침을 밝혔지만 최고위원들과, 특히 비노 진영의 반발이 커 중앙위 의결이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비노가 크게 반발한 지점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부분이다. 정성호 새정연 의원은 이날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아무것도 모르는 외부인사들이 의원에 대한 평가를 한다는 것도 문제지만 위원장을 당 대표가 뽑는 것도 문제"라며 "최고위원회가 없어지고 나면 당 대표를 견제할 기구도 없는데 이는 당 대표의 기득권을 강화하는 혁신안"이라고 비판했다.

최고위원들의 반발도 뒤따랐다. 추미애 최고위원은 "최고위를 폐지하고 권역별 대표로 채워놓으면 당 지도부가 전국정당을 지향하지 못한 채 권역의 이해관계만 반영하는 판단을 할 수 있다"며 "이렇게 되면 정치 후퇴"라고 꼬집었다. 전병헌 최고위원도 "계파 문제는 구상이나 방식의 문제라기보다 근본적으로 당의 문화와 인식의 변화가 있어야 해결될 문제"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