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경쟁력 인재양성에 달렸다] <1> BK21의 빛과 그림자

"科技인력 저변확대 기여" 최대 성과
SCI급 논문 급증·국내대학 위상강화 등
인재 양성-연구인프라 구축 두토끼 잡아
학문 다양성 붕괴·편파 지원등 부작용도


『 매년 1,800억원씩 7년간 1조1,677억원을 쏟아 부은 ‘브레인 코리아 21(Brain Korea 21ㆍBK21)의 1단계 사업이 내년 2월 마무리된다. 전체 사업비의 75% 이상을 석ㆍ박사 과정 대학원 학생들에 대한 인건비로 지원하다 보니 일부의 우려가 나오기도 했으나 이 사업이 미래 과학기술인력의 저변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점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주무 부처인 교육인적자원부는 내년부터 7년간 또 다시 2단계 BK21사업에 착수한다. ‘21세기 두뇌한국’이란 야심찬 목표로 출발한 이 사업의 공과를 살펴보고, 앞으로 인재 양성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5회에 걸쳐 시리즈로 알아본다.』 “인적자본은 가장 중요한 생산요소이며, 향후 성장의 열쇠다. 한국의 BK21 사업은 대학원 교육의 질 제고를 통해 21세기를 대비하는 대표적인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다”(도이체방크 연구소 보고서, 2005.8.) 지난 99년부터 시작된 BK21 사업의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그것도 국내에서보다 오히려 해외 언론과 기관들이 이 사업을 통해 배출된 한국의 과학기술자와 그들의 연구 업적에 대해 놀라운 눈으로 주목하기 시작했다. 황우석 교수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가 대표적이다. 서울대가 올해부터 세계대학 평가에서 100위권 안에 들기 시작한 사실도 그렇다. BK21 사업은 이제 당초 목표했던 ‘인재 양성’과 ‘체계적인 연구인프라 구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성과를 올린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SCI급 국제학술지 게재논문 두 배로 증가=BK21 사업의 가장 큰 성과는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 연구 경쟁력을 단시일 내에 크게 향상시켰다는 점이다. 대학원이상 고등교육 분야에 처음으로 ‘수월성(秀越性)’에 근거한 ‘선택과 집중 원칙’을 적용, 경쟁적 연구 풍토를 조성하고, 그 결과 대학의 연구기반을 학충하고 이를 공공화 하는데 기여해 온 것이다. 한국의 과학기술논문색인(SCI)급 국제학술지 게재 논문 수는 BK21이 시행되기 이전인 지난 98년 연간 9,444건에서 2004년 1만8,497건으로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대학원생이 제출한 논문만도 지난해 4,300여 건에 이르렀다. 이를 기준으로 한 국가 순위도 18위에서 13위로 껑충 뛰어 올랐다. 논문 인용 빈도 수를 나타내는 임팩트 팩터(IF)도 99년 1.70에서 2.21로 상승했다. 더욱 주목할 만한 변화는 과학기술분야 연구 성과의 거의 절반을 약 5%에 해당하는 BK21사업 참여자들이 이룩해 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국내 이공계 전체 교수의 4.8%에 불과한 1,634명의 BK 참여 교수들이 1인당 평균 4.58편의 SCI급 논문을 생산해 전체의 42.0%를 차지했다. ◇세계무대에서 국내 대학 순위 급상승=BK21 사업은 경제규모 10위권에 비해 항상 100위권 밖으로 쳐져 ‘우물안 개구리’로 치부됐던 국내 대학들의 위상도 끌어 올렸다. 서울대는 지난 10월 영국 일간지 더 타임스가 선정한 ‘2005년 세계 200대 대학’ 순위에서 93위(지난해 118위)에 올라 처음으로 100위권 안에 진입했다. 분야별 평가에서는 과학 45위(지난해 42위), 예술ㆍ인문 51위(지난해 순위밖), 바이오ㆍ의약 66위(지난해 순위밖), 기술 65위(지난해 67위) 등으로 1년전에 비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다른 한국 대학들도 순위도 올라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60위에서 143위로 상승했으며 순위에 들지 못했던 고려대 역시 올해 184위로 200대 대학 진입에 성공했다. 이 같은 변화는 세계 1ㆍ2위를 다투는 미국 하버드대나 MIT대, 영국 케임브리지대, 옥스퍼드대 등에 아직 견주기는 어렵지만 앞으로 추가적인 순위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낳고 있다. ◇“학문 후속세대 육성은 국가적 의무”=BK21 사업은 사업기간 내내 ▦특정대학 편파 지원 ▦학문의 다양성 붕괴 ▦지나친 경쟁으로 인한 대학 서열화 ▦평가관리체제 미비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와 함께 지금 당장 연구성과가 없는 학문 후속세대인 대학원생에게 학비와 생활비ㆍ의료보험은 물론 해외 연수비 등까지 지원하다 보니 ‘세금 낭비’라는 비난도 나왔다. 사업 기간 중 약 70%에 해당하는 석사, 박사, 박사후(Post-doc)과정 및 계약교수들에게 월평균 40~200만원씩의 생활비가 지급됐다. 그러나 국가가 나서 미래의 우수 인재를 키워야 한다는 대의명분은 해가 갈수록 더욱 힘을 얻고 있다. 고급인력의 양성, 특히 핵심 우수 인재의 확보는 미래 국가 경쟁력의 결정적 변수가 돼 가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세계 각국이 경제, 정치, 군사, 문화 면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미래의 잠재 연구 인력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교육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주는 것은 이제 국가적인 의무”라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 강동호차장(팀장), 이재철기자, 대전=박희윤기자, 창원=황상욱기자, 진주=현민우기자 eastern@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