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설립되는 청년희망펀드가 관(官) 주도가 아니라 철저하게 민간 중심으로 조성되고 운영된다. 펀드를 관리하게 되는 청년희망재단 이사장도 민간 전문가를 발탁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18일 정부 고위 관계자는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제안한 청년희망펀드는 정부 기관이나 대기업의 참여를 극도로 배제하고 민간 중심으로 꾸리고 운용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며 “사회 지도층의 책무를 강조하는 ‘노블레스 오블레주’ 정신에 따라 기부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희망펀드를 민간 중심으로 운영하기로 한 것은 정부기관이나 대기업 참여를 가능한 한 줄여 펀드 조성의 순수한 취지를 살리는 것은 물론 괜한 정치적 오해가 초래되는 것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펀드 운영은 정부 기금이 아니라 민간 금융회사에 위탁하기로 했다. 펀드 운영에 정부 입김을 차단하고 운영의 객관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서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가 펀드를 직접 운영하는 방안은 배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며 “민간에 위탁해 공정성을 담보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올해 연말까지 신설되는 청년희망재단 이사장과 고위 인사들도 대부분 민간 중심으로 꾸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정부 고위 관료를 낙하산식으로 내려 보내는 것이 아니라 민간 전문가를 발탁해 희망펀드 운영의 공정성, 순수성, 객관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희망펀드는 기부금액 목표치가 설정되는 ‘단위형’이 아니라 목표를 정하지 않고 언제든지 기부가 가능한 ‘추가형’으로 운영된다. 정부 관계자는 “희망펀드는 목표금액이 채워지면 수명을 다하는 일회성 펀드가 아니다”며 “청년고용 활성화에 도움을 주려는 사람들은 언제든지 추가로 기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희망펀드는 대기업 참여를 배제하고 사회지도층과 일반 국민의 실시일반(十匙一飯) 기부를 받아 조성된다.
정부 관계자는 “대기업이 참여하게 될 경우 펀드 조성의 순수성이 훼손되고 ‘기업 팔 비틀기’라는 괜한 오해를 받을 수 있다”며 “기업 전문경영인(CEO), 전문직 고소득자 등이 활발하게 기부를 해서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이 확산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황교안 국무총리는 청년희망펀드에 일시금으로 1,000만원을 기부하고, 이후 매달 월급의 10%를 기부하기로 했다. 황 총리의 연봉을 기준으로 매달 기부액은 130만원 정도다. 황 총리는 “노사정 대타협을 계기로 사회지도층을 비롯해 공직과 민간도 펀드 조성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바란다”며 “각계각층의 자발적인 참여로 조성된 청년희망펀드가 청년에게 희망을 주고 사회 통합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