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연 “국채시장 안정화 장치 필요”

올 하반기부터 우리나라 국채금리가 오르고 변동성도 커질 것으로 보여 탄력적 국채 공급 등 시장 안정화 장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백인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한국 채권시장의 변동성 특징과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2분기 경기 부양 정책이 나오고 하반기부터 경기 선행지수가 상승 추세로 돌아서면 금리와 함께 금리 변동성이 재차 커질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실질적인 국가채무 증가에 대해서만 국회의 승인을 받도록 함으로써 탄력적인 국채 공급의 길을 열어주고 또 10년 국채선물의 활성화를 유도해 변동성 급등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럽 재정위기 이후 국내 국채 시장의 위상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해 금리 변동성은 크게 낮아졌지만 앞으로는 다를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백 연구원은 “ 연기금과 보험사는 물론 개인투자자의 장기 국고채 수요 증가로 국내 수요기반이 확충됐고 과거 금리방향성에 근거한 투자 위주에서 상대가치투자로 투자 전략이 변화한 것도 금리 변동성이 줄어드는데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국내 회사채 시장의 금리 변동성 역시 과도하게 낮은 수준이지만 원인은 국채와 달리 시장의 가격 발견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회사채 금리는 국채시장에서 결정된 수익률에 관행적으로 신용스프레드가 부가되어 수익률이 결정되고 있다”며 “회사채집중 투자펀드에 대한 세제지원 등을 통해 회사채 펀드를 활성화하고 회사채 거래단위를 현행 100억원에서 10억원으로 축소하는 등 시장의 가격 발견 기능을 살릴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