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성 사라진 회사이름 기업가치 파괴"

김성제 브랜드경영協 회장 강조"소비자 취향과 무관한 브랜드 이름이 가치를 파괴한다." ㈔한국브랜드경영협회 김성제 회장(옴니브랜드 대표)은 21일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주최 조찬강연에서 "국내 기업들이 연상성 및 관련성이 없거나 기업환경 변화에 부적합한 브랜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 회장은 "정체성이나 차별성 없는 이름들을 국내 대표적인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다"면서 "현대ㆍ대한ㆍ고려ㆍ한국ㆍ국민ㆍ동양ㆍ태평양ㆍ극동ㆍ동부ㆍ남부ㆍ국제ㆍ동서ㆍ제일 등이 포함된 기업명들이 비현실적인 기업명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특히 "대한ㆍ고려ㆍ한국은 영어로 표현하면 모두 'Korea'가 되기 때문에 차별성을 찾아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또 "최근 국내 기업들이 AK(애경산업), KT(한국통신), TS(대한제당) 등과 같이 영문약자 기업명을 많이 도입하고 있는데 이는 소비자들의 혼란만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제일제당 같이 사업다각화 등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업명이 부적합해진 경우와 국제상사의 프로스펙스, 코오롱상사의 액티브, 화승의 르까프 등과 같이 기업명과 제품 브랜드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새로운 브랜드 전략이 필요한 사례"라고 말했다. 최인철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