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 Watch] "외국인 사위·며느리 맞는다 생각하면 보는 눈 달라져요"

진화하는 다문화교육


"국제결혼으로 우리 아이 가정도 다문화 가정이 될 확률이 높아졌어요. 다문화 가정 아이가 우리 집안의 며느리나 사위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보는 눈이 달라져요."

안산 원곡초등학교에서 다문화부장을 맡고 있는 손소연 선생님은 이같이 말한다. 그는 이어 "다문화 정책이 그들만의 리그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내국인들도 이주민들과 함께 가기 위한 다문화 공감지수를 높여야 한다"고 통합정책을 강조했다.

지난해 다문화 가정 초∙중∙고 학생 수는 4만7,000여명. 9,389명이던 2006년에 비해 무려 5배나 늘었다. 증가하는 다문화 가정 학생 수에 맞춰 정부와 교육청의 다문화 지원정책도 늘고 있지만 아직은 다문화 가정만을 위한 정책이 주를 이룬다.

여성가족부 주력사업 중 하나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이 시행 중이다. 그 외에도 이민자들이 가정ㆍ지역사회 및 한국 생활 전반에 대해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문화 사회 이해교육을 펼치고 있지만 일반 가정과 다문화 가정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은 적다.

교육정책도 크게 다르지 않다. 교육부는 다문화 가정 아동을 위한 맞춤형 교육지원, 예비학급 운영, 이중언어 교육, 일대일 학습 멘토링 사업, 다문화 대안학교 확대, 글로벌 선도학교 육성 등 다양한 사업을 활발히 벌이고 있다. 하지만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이 함께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미미한 상황이다.

'다문화' 용어를 다시 보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통합으로 가는 장애 요소라는 지적이 많아진 탓이다. 여가부가 다문화 지원법을 만들면서 다문화라는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됐는데 그 의미는 현재 상당히 왜곡돼 있다. 가난한 나라에서 온 이주민, 항상 지원을 받는 못 사는 집이라는 인식과 뗄 수 없게 된 것이다. 한국이주인권센터의 김기돈 사무국장은 "좋은 의도로 만들었는데 아이들을 구분 짓는 용어로 변질되며 당사자들한테 상처가 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다문화 정책이라는 용어를 대체하자는 얘기가 나오고 있고 학계에서도 다문화 용어를 차별적인 용어라 보고 많은 토의들이 계속 되고 있지만 대체할 말도 마땅하지 않은 형편이다. 이주배경 청소년ㆍ아동 등이 주로 거론되는 대체 단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