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과 Q&A] 알톤스포츠, "합작법인 세워 핵심 부품 개발 가격 낮춰 국내외 시장 공략"


알톤스포츠는 전기자전거 계열사 이알프스(e-ALPS)를 설립한다고 전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를 위해 알톤스포츠는 자본금 12억원을 출자해 지분 100%(24만3,000주)를 전량 취득했다.

알톤스포츠는 지난 1월 30일에는 중국 천진의 기존 공장 증설 및 자전거 차체용 관재제조공장 설립을 위해 22억원을 추가로 출자한 바 있다.

14일 알톤스포츠 주식 담당자는 "협력업체와 국내에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모터ㆍ배터리 등 핵심부품 개발 및 생산에 나설 것"이라며 "100만~150만원대로 가격을 대폭 낮추고 '메이드 인 코리아'라는 강점을 부각해 국내외 시장을 함께 공략한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Q. 지난해 4분기 포스코로 전기자전거 4,000여대를 공급하는 등 이미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A. 기존 사업부가 법인으로 독립하는 것이다. 전기자전거는 일반자전거와 전자부품(전기모터ㆍ2차전지ㆍ컨트롤러)의 결합체인데, 현재 모터 및 중요 부품 개발을 위해 협력업체와 제휴를 준비중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자전거의 시장을 선점하고 전기자전거의 핵심 부품을 국산화해,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으로도 진출할 것이다.

Q. 이알프스가 합작법인 형태로 진행되나

A. 이번 별도법인 설립 이유도 향후 모터ㆍ배터리 등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의 참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포석이다. 이번주 내에 협력업체와 MOU를 체결할 것이다. 우리는 향후 전기자전거를 넘어 스쿠터 사업에도 관심이 있다. 모터와 배터리 등 중요 부품 개발과 생산을 위해 국내에 공장도 설립할 것이다. 구체적인 형태는 조만간 기자간담회를 통해 밝힐 것이다.

Q. 자전거와 전기자전거 시장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A. 무엇보다 가격 차이가 크다. 전기자전거는 보통 가격이 150만~200만원 대다. 우리는 대중화를 위해 100만~150만원 대로 가격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 조금 다르다.

Q. 향후 계획은.

A. 협력사와 개발을 통해 모터나 주요 부품을 국내 생산하고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으로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전기모터ㆍ배터리를 국산화하면, 현재 FTA 체결 및 발효 국가인 미국ㆍ유럽 등에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으로 판매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합작 공장을 만들고 주요 부품을 개발해 국내화 모델을 출시하려고 한다. 기존 전기자전거 업체들은 모터나 배터리는 물론 다른 기본 부품도 해외에서 생산된 것을 수입해서 가조립하는 형태다. 우리는 모든 것을 국내 생산해 '메이드 인 코리아'이라는 이점을 부각시킬 것이다.

Q. 현재 전기자전거 시장 업황은

A. 국내 전기자전거 시장규모는 기존 5,000대 정도로 크지 않다. 지난 연말에 우리가 포스코로 4,000여대 공급한 것을 포함해 9,000대 규모라고 할 수 있다. 전기자전거 시장은 현재 일본과 유럽 등지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국내는 걸음마 단계다.

Q. 올해 전기자전거 시장 점유율 목표는

A. 법인을 설립하면서 내부적인 수치는 있지만, 아직 밝힐 단계는 아니다.

Q. 지난해 8월 자전거시장 3위업체 코렉스자전거를 흡수합병했다

A. 선두업체인 삼천리자전거의 시장점유율이 50%, 알톤스포츠는 코렉스를 합병해 35% 수준이다. 나머지는 수입업체를 포함한 기타 업체들이다.

Q. 알톤스포츠의 현재 주력사업 및 매출비중은?

A. 자전거 사업이 100%다. 하지만 올해는 전기자전거 뿐만 아니라 자전거 용품시장에도 진출할 것이다. 삼천리자전거의 경우, 용품시장에도 진출해 상당히 비중이 있다.

Q. 지난해 실적은 어떻게 되는가.

A. 현재 알톤스포츠는 중국법인(천진)과 코렉스가 자회사로 있다. 지난해 알톤 매출이 전년 대비 20% 정도 증가했다. 인수 당시 적자였던 코렉스는 작년 흑자전환했다. 2010년 알톤스포츠 별도 실적과 비교할 때, 201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이 90%, 순이익이 70% 정도 증가할 것이다.

Q. 올해 가이던스는

A. 올해는 매출을 전년대비 30% 이상 증가시킨다는 목표다.

Q. 현재 지분구조는

A. 현재 대표이사가 51%, 기관이 21% 정도의 지분을 갖고 있다. 물론 이는 전환가능한 물량을 제외한 수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