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ㆍ강화 또 구제역 확산 비상

김포ㆍ강화지역에 8개월여 만에 또다시 구제역이 찾아오면서 이들 지역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달 29일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섬 지역인 인천 강화군까지 유입되면서 전국으로 번질 가능성이 더 높아져 방역당국이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4일 인천시와 김포시에 따르면 지난 22일 김포시 월곶면 돼지농가의 구제역 의심신고가 양성으로 판명난 데 이어 이날은 강화군 양도면 돼지농가에서 구제역 발생이 확인됐다. 이들 농가는 14.8km 떨어진 거리에 있다. 김포ㆍ강화지역은 이미 지난 4월 구제역으로 큰 피해를 봤기 때문에 불안감이 더욱 증폭되는 분위기다. 당시 강화군에서는 227개 농가의 소, 돼지 등 3만1,345마리가 살 처분됐고 김포시에서도 1개 농가의 소, 사슴 등 194마리가 살 처분됐다. 방역당국은 일단 구제역 발생 농가와 인근 농장 가축들에 대해 살 처분을 실시하고 방역망을 구축한 상태다. 발생 농가는 물론 인접 지역과 연결된 주요 도로에 방역초소를 설치하고 이동 차량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며 추가 확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강화군은 구제역 의심신고 접수 당일 초지대교와 강화대교에서 방역초소를 설치한 데 이어 총 8곳의 방역초소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김포시는 일산, 파주 등 경기북부지역과 통하는 일산대교와 김포대교를 비롯한 관내 주요 도로에서 14개 통제소를 설치, 운영 중이다. 이번 구제역으로 살 처분된 가축은 오전 11시30분 현재 강화군에서는 돼지 890마리, 김포시의 경우 소, 돼지 등 1만594마리에 이른다. 김포에 이은 강화지역 구제역 발생으로 방역당국이 특히 긴장하는 이유는 구제역이 내륙을 넘어 섬 지역까지 확산됐기 때문이다. 섬 지역에까지 투입됐을 정도로 확산 속도가 빠르다면 수많은 유동인구와 차량의 흐름을 타고 전국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구제역 파동이 1개월 가까이 장기화하면서 생석회 등 방역자재 공급과 인력 지원에 차질이 우려되는 것도 방역당국의 고민이다. 강화군 관계자는 “강화군의 경우 미리 비축해놓은 생석회를 우선 사용하고 있지만 전국적으로 생석회 공급이 부족해 생산 공장에서는 1월 중순까지 주문이 밀렸다고 들었다”라며 “연평도 포격 이후 안보 불안이 높아지면서 군 병력 동원도 여의치 않아 군청 자체 인력으로 방역 작업을 수행하느라 애를 먹고 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