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과잉교육 임상사례 소개생후 2년8개월이 지난 철수는 다른 사람과 눈을 맞추지 않고 이름을 불러도 대답을 못하고 말로 의사소통도 거의 못한다.
자폐증이 아닌가 걱정이 된 어머니를 따라 소아정신과에 온 철수는 표정이 없고 어머니가 불러도 대꾸를 하지 않은 채 자동차 놀이에만 몰두하고 있었고 가끔 `car'라고 영어단어를 중얼거렸다.
진단결과 철수의 어머니는 두 살위인 형의 영어공부를 위해 영어 비디오 테이프와 한글 테이프를 항상 틀어뒀는데 철수가 생후 6개월때부터 형보다 오히려 몰두하는 것을 보고 형보다 가능성이 크겠다고 생각, 거의 하루종일 혼자 비디오를 보게 내버려두고 어머니 자신은 주로 집안일을 했다.
그 결과 철수는 돌이 지나면서 비디오 테이프를 틀어주지 않으면 잠을 자지 못할 정도로 집착했고 한국말보다는 영어단어를 좋아하고 알파벳도 알 정도로 기억력이 뛰어났다.
하지만 철수는 두돌이 지나도 의사소통을 잘하지 못하고 친구들과 어울리지도 못했으며 대소변 가리기에도 전혀 관심이 없는 걱정스러운 징후를 보였다.
연세대 의대 소아정신과 신의진 교수가 28일 한국교총회관 강당에서 열린 교육인적자원부 주최 유아교육 강사요원 연수에서 소개한 조기과잉교육의 임상사례다.
신 교수는 "사회성과 정서발달이 활발해야할 시기에 비디오를 통한 인지적인 자극에만 과다하게 노출된 결과, 사회성과 언어발달이 지연되고 자아발달이 미숙하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부모들은 아이가 글을 읽거나 숫자를 세면 똑똑한 것으로 생각하지만 단순한 암기력이 있는 경우 얼마든지 가능하다"면서 "이때 `천재가 아닌가'하고 오해하고 영재교육을 시키는 경우가 있지만 이런 유아일수록 오히려 언어 이해력이나 사회적 인지력이 떨어지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아 자라서는 학습능력이 떨어지고 공격적 성향과 정서불안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화여대 유아교육과 이기숙 교수도 "최근 조사결과 사립유치원의 88%가 영어.미술.체육 등 특기교육을 실시하고 3∼4가지를 실시하는 유치원이 58.3%에 달하고 있어 정규교육과정을 제대로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모들의 70.3%는 유아 조기특기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그 시기에 대해서는 73.5%가 빠르다고 생각하면서도 남들이 시키니까 어쩔 수 없이 시킨다는 응답을 했다고 소개했다.
이 교수는 "그러나 유아 조기특기교육은 유아들에게 정신적.신체적 부담이 되고 또래관계 형성을 방해하며 초등학교 저학년때 공부하는 태도를 망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울대 의대 서유헌 교수는 "언어기능을 담당하는 측두엽은 만 6세후부터 집중적으로 발달하며 그 이전에는 뇌발달이 이뤄지지 않아 언어학습을 제대로 소화하기 힘들다"고 소개했다.
서 교수는 "아직 배울 때가 되지 않은 아이에게 어른의 욕심으로 너무 일찍 너무 많이 가르치면 스트레스를 받아 `과잉학습장애'라는 일종의 정신질환이 나타난다"면서 "난폭한 행동, 자폐증세, 책을 거부하는 학습 거부증, 친구들과 어울려 놀지도 못하는 등의 후유증이 생길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조채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