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소사/8월11일] SOS


SOS. 구난 신호다. 언제부터 쓰였을까. 통설은 1912년 4월. 타이타닉호가 침몰할 때 다급하게 SOS를 타전한 게 최초라고 알려져 있다. 과연 그럴까. 통설일 뿐이다. 최초 사용은 1909년 8월11일. 대서양 연안 노스캐롤라이나주 연안에서 프로펠러 구동축이 고장 난 미국 증기선 아라파호(Arapahoe)호가 처음으로 SOS를 쳤다. 그렇다면 이전까지 해난 신호는 무엇이었을까. 나라마다 달랐다. 무선통신을 해난 신고에 이용한 1899년 이래 영국은 CQD, 독일은 SOE, 미국은 NC를 조난 부호로 삼았다. 국제공용의 신호를 마련하자는 첫 회의가 열린 1903년, 주최국 이탈리아는 자신들이 쓰는 SSSDDD를 제시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영국의 기준인 CQD의 사용이 늘어났다. 1904년에 무선통신 시대를 연 마르코니 회사도 CQD를 기준으로 삼았다. SOS가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것은 1906년. 독일에서 열린 국제 무선회의에서다. 모르스 부호로 쳤을 때 가장 간단하고 확실하다는 점에서 채택돼 타이타닉호의 침몰 이전까지 최소한 7차례 조난 부호로 사용됐으나 주류는 여전히 CQD였다. 타이타닉도 처음에는 CQD를 타전하다 침몰 직전에야 SOS를 날렸다. 타이타닉호 침몰은 조난 부호의 통일 필요성을 각인시키고 결국 SOS는 국제기준으로 자리잡아 수많은 생명을 구했지만 이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1999년 국제해사기구가 조난 신호로 모스부호를 폐기하고 인공위성을 이용한 세계해상조난 안전체제(GMDSS)로 대체했기 때문이다. 대신 SOS는 생활 곳곳에 스며들었다. 비뚤어진 청소년을 선도하고 동물을 보호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타이틀에도 SOS가 들어간다. 한국 경제가 다시금 SOS를 치는 상황이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