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재산정리 협의" 29일 민·관 합동 방북

정부 6명ㆍ민간사업자 6명…통일부 과장 단장…“국민 재산권 적극 보호 위해”

금강산 관광지구 내 우리 측 재산권 처리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오는 30일까지 방북하라는 북한의 요청과 관련, 정부가 민간사업자들과 합동으로 29일 방북하기로 했다. 천안함ㆍ연평도 사건 등 공식 사과가 있기까지 무대응 방침으로 일관하던 정부가 기존 입장을 바꿔 적극 대응으로 돌아선 것이다. 이는 재산권 보호를 위한 민간기업들의 강력한 요구를 수용하는 한편 북측의 속내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27 "금강산 관광지구 내 재산 문제와 관련한 북한의 입장을 정확히 확인하고 우리 국민의 재산권을 적극 보호하기 위해 민관 합동방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회담 성격의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북한 관계자들을 만나 입장을 들어보고 '정리해달라'는 의미가 정확히 어떤 뜻인지 등을 파악해 우리 입장도 전달하게 될 것"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방북단 규모는 총 12명으로 정부 측에서는 단장인 서두현 통일부 사회문화교류과장을 비롯해 통일부 실무자 3명, 법무부ㆍ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 등 6명이다. 민간 측에서는 현지에 투자한 현대아산 2명, 에머슨퍼시픽 1명, 금강산기업협의회 1명을 비롯해 한국관광공사 1명, 대한적십자사 1명 등 6명이다. 남북 간 대화가 단절된 상황에서 정부 당국자가 오랜만에 직접 참석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금강산 관광 문제뿐만 아니라 천안함ㆍ연평도 사건 등 남북 간 현안 문제에 대한 대화가 오갈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북측의 '재산 정리' 언급과 관련해 동결ㆍ몰수한 남측 자산을 북측이나 제3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하거나 제3자에게 매각하는 조치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관측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