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오름세가 무섭다. 자장면ㆍ과자ㆍ빵ㆍ채소값ㆍ목욕비ㆍ상하수도료ㆍ비행기요금 등에 이르기까지 오르지 않은 게 없다. 주부들은 장보기가 겁날 정도라고 한다.
원유ㆍ곡물 등 우리 힘으로 통제하기 어려운 국제원자재 시세가 폭등한 때문이기는 하지만 미처 대응할 틈도 없이 너무 가파르게 뛰는 게 문제다. 물가앙등은 소비 위축, 수출 둔화와 저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물가는 이미 당국의 통제선을 넘은 지 오래다. 지난해 12월 수입물가는 전년 같은 달보다 무려 15.6%나 뛰었다. 11월의 13.7% 상승에 이은 두달 연속 급등세이며 상승폭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수입물가는 생산자ㆍ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쳐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로 한국은행의 중기 물가목표(2.5~3.5%)를 넘어섰다. 생산자물가 역시 5.1%나 뛰었다.
물가 상승세가 여기서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더 큰 걱정이다. 11일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옥수수와 콩ㆍ밀 등 주요 곡물 값이 모두 하루 상한선까지 뛰는 이른바 ‘퍼펙트 스톰’을 기록했다. 배럴당 100달러를 넘었던 유가가 150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물가는 한번 뛰기 시작하면 통제하기가 쉽지 않다. 물가불안이 지속되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굳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곧 물가 상승과 금리 및 임금 인상, 원가 상승에 다른 물가 상승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 매점매석 등의 부작용으로 서민들의 생활은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정부는 어제 각 부처가 참가하는 물가안정대책반을 구성해 가동에 들어갔다. 뒤늦은 감이 있기는 하지만 물가안정 의지를 보이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른 선택이다.
수급 불균형으로 가격이 뛰는 물품은 정부비축물량 공급 확대, 할당관세 인하 등으로 인상요인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 공공요금도 공기업의 경영 합리화를 통해 원가상승 요인을 최대한 줄이는 노력이 요구된다.
개인서비스 요금도 관련협회 등을 통해 인상억제를 유도함으로써 고물가 시대의 고통을 분담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외부 충격에 강한 경제체질을 구축하는 일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