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의 전격적인 반도체통합 수용을 둘러싸고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무엇보다 반도체에 그토록 강한 애착을 보여온 LG가 아무런 조건없이 아서 D 리틀(ADL)의 평가결과를 수용했겠느냐는 시각이 강하다. 항간에 떠돌던 보상빅딜설이 설득력을 가지는 이유다.우선 LG가 조건없이 대세를 수용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시각이 있다. 채권금융단의 금융제재가 본격화할 경우 그룹의 존립이 위협받는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주효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LG가 보여온 강경한 태도로 볼 때 상당한 수준의 보상이 뒤따를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청와대 독대가 구본무(具本茂)LG회장이 일방적으로 반도체통합 수용방침을 밝힌 자리라기보다는 상당한 댓가를 확약받는 자리였을 것이란 추론이 설득력을 얻고있다.
일차적으로는 LG가 반도체 지분을 전부 양도함에 따라 현대측이 주식 가격을 후하게 쳐줘 현금으로 보상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또 업계는 현대가 정보통신이나 박막트랜지스터_액정화면(TFT_LCD), 석유화학 사업등을 넘겨주는 방안을 꼽고있다. 무리없이 반도체통합을 추진하려는 현대입장에서 충분히 검토가능한 사안이란 분석이다.
LG의 처지를 고려, 정부가 주도적으로 보상안을 내놓았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반도체통합을 성사시키려는 정부의 노력이 얼마나 대단했는가를 아는 사람들은 그 가능성을 높게 보고있다. 우선 이동통신 산업의 2차 빅딜이 임박한 만큼 LG텔레콤에 상당한 힘을 실어주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이다. LG로선 통신사업이 반도체 못지않은 핵심전략분야라는 점에서 설득력이 높다.
이와 함께 LG에 데이콤의 경영권을 보장해주는 방안도 유력하다. 이와는 다른 차원에서 얘기되는게 민영화대상인 일부 거대 공기업의 인수다. 공기업 민영화가 어차피 정부주도로 이루어지는 만큼 정책의지만 확고하다면 큰 무리가 없다는 지적이다.
보상빅딜 등 이면합의가 없었다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정부와 현대, LG간에 어떤 종류의 이면합의가 있었다면 앞으로 내용이 밝혀지고 구체적으로 추진되는 과정에서 또 한차례 파문이 일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정부든 현대든 보상을 약속하는 모양새가 말 그대로 「밀실합의」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손동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