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8월 18일] 은행원 임금 제도 개선부터

“1인당 순익이 감소했다고 바로 임금을 삭감해야 합니까.” 17일 금융 위기 여파로 은행들의 직원 1인당 평균 순익이 크게 떨어졌다고 알려지면서 나온 은행 직원의 반응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은행들의 1인당 순익은 1,594만원으로 지난해 대비 4분의 1로 줄었다. 평균 급여의 절반 수준이다. 그만큼 생산성도 감소했다고 볼 수 있다. 대손충당금 적립과 파생상품 관련 손실 등이 복합된 결과다. 그런데도 일부에서는 은행의 순익 및 1인당 생산성 감소를 바로 직원들의 급여 삭감과 연결짓고 있다. 가뜩이나 많은 돈을 받는데 급여보다 1인당 순익이 적으니 월급을 깎는 게 당연하지 않느냐는 논리다. 문제는 금융 위기라는 특수상황에서 은행의 수익이 줄어든 것을 직원의 임금삭감과 바로 연계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파생상품 투자로 논란이 되고 있는 황영기 전 우리은행장이나, 통화옵션 상품인 키코(KIKO) 등으로 수천억원의 손실을 본 하나은행의 경우 해당 손실이 직원들만의 책임은 아닐 것이다. 은행 직원들의 임금을 삭감해 어떤 공익을 얻을 수 있는지도 이해하기 힘들다. 175조1,430억원의 원화대출을 보유한 국민은행에서 이자를 1%포인트 낮추는 데 약 1조7,514억원이 든다. 올 상반기 국민은행 직원 임금총액은 7,404억원으로 직원 임금을 1년간 전액 삭감해도 이자 1%포인트를 못 낮춘다. 은행 직원들의 급여 삭감보다는 직군별 임금체계 차별화나 정규직에 비해 턱없이 낮은 비정규직의 급여를 정규직 수준으로 맞추는 게 근본처방이다. 투자은행(IB) 등 전문인력은 높은 급여를 주고 업무 성격에 맞춰 급여 체계를 바꿔야 한다. 또 비정규직의 낮은 임금으로 보전되고 있는 정규직들의 높은 임금체계를 수정하는 것이 맞다. 삼성전자의 순익이 줄었다고 직원임금을 삭감하라는 주장은 들어본 적이 없다. 밀어붙이기 식으로 임금삭감을 요구하기보다는 합리적인 제도개선을 바라는 게 순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