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0년 롱텀에볼루션(LTE)보다 1,000배 빠른 5세대(5G) 이동통신이 상용화된다. 5G는 1Gbps급 속도로 800MB 영화 한 편 받는 데 1초가 안 걸린다. 정부는 민간과 공동으로 5G 개발 등에 1조6,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이 같은 내용의 미래 이동통신산업 발전전략을 확정해 발표했다. 정부는 이동통신산업이 국가의 성장동력으로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정부의 계획대로 일이 착착 진행되면 2020년에는 세계 단말기 시장 1위, 장비 시장 점유율 20%,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 일자리 1만6,000개 창출 등의 성과가 나올 것으로 분석했다.
또 2020년부터 2026년까지 7년 동안 5G 기기와 장비 수출로 331조원의 매출을 올리고 통신 서비스 부문에서 68조원의 신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여기다 주변 산업에 미치는 간접적인 생산유발효과를 모두 더하면 552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44조원, 고용 58만명 등으로 전망했다.
미래부는 5G를 위한 기술목표로 △1,000배 빠른 전송속도 △1,000배 많은 단말기 수용기술 △1,000배 단축시킨 서비스 지연 △1,000배 개선된 에너지효율 기술 등을 꼽았다. 5G 핵심 서비스로 분류된 미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모바일 입체영상, 지능 서비스, 초고속 서비스, 고화질(UHD)·홀로그램 등 5개는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향후 일정은 내년 12월까지 5G를 위한 선행 핵심 서비스를 선보이고 2017년 12월 핵심 시범 서비스를 구현한 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세계에 5G 기술을 공개한다는 것이다. 강성주 미래부 융합정책관은 "5G 기술은 정보통신기술(ICT)산업과 다른 산업을 혁신할 수 있는 창조경제의 핵심 인프라"라고 평가한 뒤 "5G 시대에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연결되고 모바일로 홀로그램영상이 전달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