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부 '인위적 경기부양' 용어 정의 눈길

"편익보다 비용이 큰 무리한 정책"
기존의 거부반응 탈피…거시정책 구체사례 제시

경제정책을 책임지고 있는 재정경제부가 ‘인위적 경기부양’에 관한 정의를 내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재정집행 방향 등을 놓고 언론에서 인위적 경기부양쪽으로 해석하면 펄쩍 뛰는 등 ‘경기부양’이라는 말에 생리적인 거부감을 보여왔다. 8일 재경부는 한나라당 윤건영 의원이 ‘재경부가 인식하는 인위적 경기부양의 정의와 기준’을 질의한 데 대해 “경기부양에 따른 편익보다 추후에 더 큰 비용을 초래할 수 있는 무리한 정책을 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재경부는 인위적 경기부양이 학술적 용어가 아니고 실제 용례도 다양해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전제로 이같이 설명하고 인위적 경기부양으로 볼 수 있는 구체적인 거시경제정책 수단도 제시했다. 재경부는 ▦재정정책의 경우 재정적자가 구조적이고 그 규모가 과도해 재정의 중장기적 지속가능성을 저해할 때 ▦통화금융정책의 경우 과도한 통화팽창, 저금리 운용, 신용확대 등으로 물가안정이나 가계ㆍ기업의 재무건전성이 크게 저해될 때 ▦외환정책의 경우 경제여건을 지나치게 벗어난 환율 저평가 상태를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총수요 관리에 큰 부담을 줄 때를 예로 들었다. 재경부는 ‘경기진작’ 또는 ‘경기부양’에 대해서는 경기순환상 수축국면에서 일시적인 대내외 충격 등으로 경기의 하방 진폭이 과도하게 확대될 수 있거나 회복국면에서 정상궤도로의 회복을 보다 빠르게 유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재정ㆍ통화 등 거시경제정책 수단을 동원해 경기흐름을 완화 또는 조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그동안 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책을 쓰거나 쓸 계획이면서도, 이는 인위적 경기부양과는 다른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 말이 사용되는 것을 몹시 싫어했다. 권오규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은 취임 직후인 7월20일 정례브리핑에서 수해복구를 위한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관련해 “인위적 경기부양을 위한 추경 편성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피해가 예상보다 커지고 정부가 갖고 있는 수단으로 부족하다면 그 부분은 고려하겠다”면서 “그러나 이는 인위적 경기부양과는 상관없다”고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덕수 전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도 6월말 기자 간담회에서 “내년에 경기 자극적인 정책을 사용할 지 여부는 하반기에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인위적 경기부양과 경기 자극적인 정책은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