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진전 맞물려 분위기 고조… 북한 비핵화 수용이 관건

■ 남북정상회담 이뤄지나
개성공단 국제·러 가스관 등 북한 협조 있어야 사업 가능
박근혜 대통령 대북정책 변화 예고

박근혜 대통령이 ‘진정성 담보’라는 전제조건을 달기는 했지만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경직된 남북관계를 해소하고 경제협력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직접 접촉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개성공단 국제화, 시베리아 횡단철도 및 러시아 가스관 사업 등은 북한의 협조가 없으면 사업 추진 자체가 힘든 실정이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집권 1년을 앞두고 대북정책의 변화를 꾀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우리 정부와 미국ㆍ중국ㆍ러시아ㆍ일본 등 6자 회담 관련국 간 협상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정부가 정상회담을 포함해 북한 지원의 전제조건으로 비핵화를 천명하고 있어 북한이 핵 보유와 경제발전을 함께 추진하는 병진정책을 고수할 경우 정상회담은 공염불로 끝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경색된 대북경협ㆍ남북관계 풀리나=박 대통령은 꼬일 대로 꼬인 남북경협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북한의 태도변화, 나아가서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인식 변화가 절실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12~13일 방한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주요 의제가 되는 나진∼하산 시베리아 횡단철도, 가스관 사업 등은 북한의 협조가 필요하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철도와 가스관 사업은 박 대통령이 야심 차게 추진하고 있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핵심 어젠다인데 5ㆍ24 조치를 해제하지 않으면 차질이 불가피하다”면서 “현실 제약 때문에 북한과의 접촉면을 넓히고 나아가서는 정상회담 발언까지 나오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신뢰 프로세스 등 박 대통령의 정치ㆍ안보 공약도 북한이 협상의 장으로 나와야만 가능하다. 박 대통령은 미국ㆍ중국ㆍ러시아ㆍ동남아시아 등 집권 이후 네 차례의 해외 순방을 통해 신뢰 프로세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DMZ 평화구상에 대해 각국 정상의 지지와 동의를 이끌어냈다. 프랑스ㆍ영국ㆍ벨기에ㆍ유럽연합 등 이번주 진행되는 서유럽 순방에서도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북한의 참여가 없으면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는 정부의 대북정책을 감안해서 강경 일변도로만은 문제를 풀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야당은 물론 여당 내부에서도 박 대통령이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답습해서는 남북관계 진전을 꾀하기 어려우며 되레 보수강경 이미지만 부각시킬 뿐이라고 우려를 표명한 것도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속도 내는 6자 회담=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6자 회담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른바 ‘병진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고 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북한 비핵화가 필수 전제조건이다.

우리측 6자회담 수석 대표인 조태용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3일 오전 미국으로 출국, 7일까지 현지에 체류하면서 글린 데이비스 미 대북정책 특별대표 등 국무부 당국자 및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 등을 만나 북핵 문제 전반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6일에는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3자 협의도 계획돼 있다.

조 본부장은 출국 전 “북핵 대화는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을 기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대화가 돼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조 본부장의 방미는 10월28∼29일 열린 미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 직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조 본부장은 미국 방문 이후 이달 중 중국을 찾아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도 회동할 예정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북한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은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며 “북한이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고 남북관계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경협 등 당근을 제공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북한이 핵개발 의지를 굽히지 않는다면 기존 ‘강 대 강’대결 국면은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