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위기 차단·서민 붙잡기 포석

저축銀 예금금리 인상 왜?
시중은행과 차이 좁히려 인상추세 당분간 이어질듯

저축은행들이 일제히 예금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것은 다목적 방어 전술로 읽힌다.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로 불안해진 고객들의 예금인출 조짐을 조기에 방어하기 위해서 좀 더 나은 예금조건을 내세운 것. 앞서 저축은행들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가 심각하진 지난해부터 수신금리를 사실상 하향, 유지하는 데 주력해왔었다. 삼화저축은행의 영업정지에 따른 파급효과가 대형 저축은행에 미치기 시작한 지난 17일 대비 18일은 안정 추세로 접어들고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둘러싼 금융환경이 불확실하다 보니 일정 부분 방어막을 칠 수밖에 없는 셈이다. 수도권의 주요 대형 저축은행들은 17일에만 50억원 안팎의 자금이 빠지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18일은 17일보다 상황은 좋지만 고객들의 불안심리가 계속될 경우 유동성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점이 금리인상의 배경으로 꼽힌다. 대형사인 A사의 경우 18일 오후 기준으로 전날 대비 예금인출 금액은 40% 정도 줄어들었고 전화 문의도 30%가량 감소했다. 다만 완전히 마음을 놓을 수는 없는 상황이라는 게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저축은행의 예금금리 인상은 좀 더 긴 안목에서는 은행들의 금리인상에 대한 역공의 의미도 담고 있다. 한국은행이 최근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시중은행들의 예금금리는 연 4%대로 올라선 상태다. 부동산 PF 문제가 불거지기 전에는 저축은행과 시중은행의 예금금리 차이는 1%포인트 이상 났다. 최근에는 이 차이가 0.2~0.5%포인트 정도로 줄어든 상태다. 고객 입장에서는 금리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 문제가 불거진 저축은행보다는 시중은행을 선택하는 경우가 생기는 셈이다. 이 때문에 저축은행의 금리인상세는 좀 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분간 영업정지 같은 극약처방은 없겠지만 저축은행 구조조정이 예정돼 있고 한국은행이 물가를 잡기 위해 올해 기준금리를 추가로 높일 계획이기 때문이다. 대형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영업을 줄일 생각으로 예금금리를 낮추려고 생각하던 차에 삼화저축은행 건이 생겨 금리를 오히려 높여야 할 상황"이라며 "은행권과의 금리 차이를 감안하면 일정 부분 금리인상 요인이 남아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