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법정관리 기미… 차업계 비상

◎업계 반응­채권단선임 경영진 불신임 불보듯 ‘자생불가능’ 우려/기아입장·대책­“경제파급 고려땐 화의가 유일한 대안” 정부정책 강력반발/현대·대우입장 대책­복수납품 부품업체 경영상황 체크 파장최소화 전력자동차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기아사태에 대한 정부의 강경입장으로 기아사태가 화의로 풀릴 가능성이 적어지고 법정관리로 가닥을 잡아가기 때문이다. 기아·아시아는 물론 현대·대우·쌍용 등 자동차업체들은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며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법정관리로 끌고갈 경우 기아의 강력한 반발은 불을 보듯 뻔하며 그 결과는 다른 업체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따라 현대, 대우 등은 「복수거래업체 전담제」를 도입하는 등 파장최소화에 나서고 있다. 또 궁극적으로는 기아의 제3자매각이 추진되면서 대비책 마련이 불가피, 경영자원의 분산도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법정관리에 대한 업계반응=업계의 의견을 종합한 「최악의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법정관리 신청(채권단)­기아의 반발(시위 및 법정관리인 배제)­기범련·부품업체·사회단체·광주시 등 지자체의 반발­자동차연맹·민노총의 시위동참­생산차질의 장기화­단독납품 1차협력업체(1백45개사)도산­복수 부품업체 도산­현대·대우·쌍용의 생산차질­수출차질·해외신인도 추락」. 물론 기아처리가 급속히 진행된다면 이같은 시나리오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기아가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조기수습은 불가능하다. 채권단이 선임하는 경영진(채권단에 의한 내부선임)을 기아 임직원들이 인정하고, 함께 자생을 모색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게 일반적인 전망. 기아의 한 사장은 『기아에 입사한 지 15년된 사장도 기아맨으로 불리지 않는다』며 독특한 문화를 설명한다. 이런 특수한 문화를 무시하면 그 결과는 생각보다 커질 수 있다는게 업계의 우려다. 기존업체의 한 경영자는 요즘 한창 유행하는 「우리 소리를 우습게 보지 마라」에 빚대어 이렇게 말했다. 『자동차 산업을 우습게 보지 마라.』 또다른 한 관계자는 『정부의 기아처리는 「뚜렷하고도 확고한」대안이 마련해 놓고 추진해도 예기치 못한 파란이 예상된다』며 『정부가 너무 쉽게 결정내리는 것 같다』고 우려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기아의 입장과 대책=기아는 법정관리가 불가피하고, 특히 김선홍 회장이 사퇴하고 기아가 화의신청을 취소할 때 채권은행들이 당초에 추진해온 채권유예방식을 통한 기아의 자력회생 방안을 재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에 대해 『현재로선 화의가 유일한 대안이다』는 입장이다. 기아의 한 관계자는 『기아해법은 자체회생, 은행관리, 법정관리, 화의 등 4가지나 기아의 회생, 국가경제 파급영향을 등을 종합할 때 화의가 최선이다』고 말했다. 자체회생은 자금지원이 없는한 불가능하고, 은행관리는 채권단이 거부하고, 법정관리는 국내외파장이 너무 크다』는 것. 기아는 정부정책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 임원은 강경식부총리가 『협력업체 추가지원은 없다거나 부품업체 도산은 기아의 책임이다는 등 강경발언을 한 것은 그동안 주장해온 「기아사태 불개입」을 뒤집은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 임원은 『강부총리의 말대로라면 우리의 중소기업 정책은 없는 것』이라고 주장. 기아는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애써 가꾸어놓은 해외사업장에 큰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대우의 입장과 대책=▲복수 납품업체들에 미칠 영향 ▲기아매각 대책 ▲해외거래선에 대한 설명 등이다. 당장의 과제는 부품업체 동향이다. 법정관리가 결정되면 기아의 반발과 생산차질로 그 파장이 단독납품 업체는 말할 것도 없고 복수부품업체에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따라 현대와 대우는 기아와 복수거래하는 부품업체마다 전담요원을 배치, 자금 및 경영상황을 현장에서 체크하고 있다. 대우의 한 경영자는 『기아에 납품비율이 높은 업체들을 중점관리하고 있으나 앞으로 기아사태가 더 악화될 경우 복수업체에 대한 추가지원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현대와 대우는 복수거래 업체에 대한 어음할인 등 지원을 해주고 있다. 중장기 대책에서는 삼성의 움직임을 주시할 수 밖에 없다. 이에따라 기아사태는 앞으로 현대, 삼성, 대우를 비롯 해외합작선인 포드, 마쓰다 등이 뒤엉켜 훨씬 더 복잡하고, 미묘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제3금융기관의 연쇄도산으로 그 파장이 재계 전체로 번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박원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