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ㆍ중국ㆍ일본 등 아시아의 경제 대국들이 미래 경제 발전의 원동력인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중동과 시베리아 등 세계 곳곳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최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나선 5일간의 중동 순방은 이들 국가가 에너지 확보에 얼마나 심혈을 기울이는지를 잘 보여준다.
아베 총리는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부다비국영석유회사(ADNOC)에 원유 장기공급계약을 조건으로 10억달러의 저리차관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 사우디아라비아에 오키나와 국영원유저장고를 무상 임대해주는 대신 비상시 그곳에 저장된 원유를 일본이 우선 구입해 쓸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제안했다. 일본 정부는 또 우라늄 매장량 세계 2위인 카자흐스탄과 우라늄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하고 동시에 우라늄 광산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한때 원유 수출 국가였던 중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에너지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은 에너지 확보를 위해 상업적으로 의심스러운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대표적인 반미주의자인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과 손을 잡고 수십억달러에 이르는 원유를 수입한 것이 이런 사례 중 하나다.
그러나 지구촌 곳곳에서 에너지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중국 정부의 끊임없는 노력 뒤에는 상업적인 위험 그 이상의 위험 요소가 잠복해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에너지 확보를 위한 중국 정부의 움직임은 자국에 대한 평가는 물론 자국민의 안전에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 최근 중국 정부는 수단에서 있었던 대량 학살을 묵인했다는 비판 여론에 시달렸으며 에티오피아에서는 반군에 의해 정유 업체 근로자가 피살당하기도 했다.
물론 원유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동차를 움직이고 전기를 생산할 수는 있다. 중국 정부는 더 많은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는 등 일본의 사례를 모방하고 있다. 중국은 또 자국에서 생산된 석탄을 사용함으로써 원유 수입을 일부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대체에너지들이 원유 수입을 줄일 수 있는 근본적인 요인이 될 수는 없다.
일본처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은 또 다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은 이보다는 일본과 중국 사이에 있는 남중국해에서 원유 및 가스를 채굴하는 데만 열을 올리면서 일본과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원유 문제와는 별개로 아시아 국가들에 있어 앞으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가장 귀중한 자원은 외교적 해결책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