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속도전 우려되는 임기 내 우주로켓 시험 발사

정부가 무게 1.5톤의 실용위성을 지상 600~800㎞에 올릴 수 있는 한국형 우주로켓 개발ㆍ발사 일정을 1년 이상 앞당기기로 했다. 우선 로켓의 기본인 추력(推力ㆍ밀어올리는 힘) 75톤급 액체연료 엔진은 박근혜 대통령 임기말인 오는 2017년 말에, 이 엔진 5기와 7톤급 액체 엔진으로 구성된 우주로켓은 2019년 말에 시험 발사한다. 이듬해 6월에는 중형 위성을 실은 로켓을 쏘아 올리고 연말까지 달 궤도선과 착륙선까지 발사하겠다는 것이다. 달 착륙선 발사는 당초보다 5년이나 앞당겼다.

정부는 당초 "2020년 달에 태극기가 펄럭이게 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을 의식해 발사일정 2년 단축을 추진하다 기술ㆍ예산상 상당히 무리가 따르자 한발 후퇴했다. 우주개발 분야는 건설ㆍ토목공사 공기 단축하듯 속도전이 미덕인 분야가 아니라는 점에서 다행이다.

그래도 숨이 찰 정도로 일정이 빡빡하다. 특히 2020년 6~12월 우주로켓과 달 궤도선ㆍ착륙선을 모두 발사하려는 계획은 지나치게 공약을 의식한 것이어서 걱정스럽다. 우리에게는 75톤급 엔진도, 이를 4개 묶은 클러스터링 기술 개발 경험도 없는 만큼 패기만으로 성공할 수는 없다. 우주개발의 속성상 예상치 못한 문제가 일어날 가능성이 큰 만큼 정부 계획은 목표로만 삼고 속도전보다 기반기술을 차곡차곡 쌓아가는 것을 더 중시할 필요가 있다.

풍족하지 못한 예산도 문제다. 우주로켓 총 개발예산을 당초 1조5,449억원에서 1조9,572억원으로 늘렸지만 개발을 앞당기는 데 드는 추가 예산을 1,125억원으로 잡은 것은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본 것 같다. 달탐사 예산은 아예 포함되지 않았다.

물론 비관적으로만 볼 것은 아니다. 우리는 30톤급 엔진을 독자 개발해왔고 올해 나로호 발사 성공으로 다양한 우주 분야 기반기술을 어느 정도 확보했다. 정부가 장기ㆍ안정적 투자계획으로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우주기술의 산업화를 이끌어내는 데서 해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