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의 먹거리를 찾으려는 노력이 당국과 업계의 동상이몽으로 길을 찾지 못하고 있다. 당국은 길게 보고 체질을 바꾸라고 주문하지만 업계는 당장의 위기부터 해결해달라고 요구하기 때문이다. 근본적으로는 저축은행의 먹거리였던 서민ㆍ중소기업 대출 시장에 다른 업계가 침투하면서 설 곳이 좁아진 탓이 크다.
11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ㆍ예금보험공사ㆍ저축은행중앙회는 '저축은행 발전 방향 모색 태스크포스(TF)에서 3개월째 논의하고 있지만 할부금융 등 업권 확대를 제외하면 구체적인 해법을 만들지 못했다.
금융위는 저축은행에 할부금융과 펀드ㆍ보험판매 신탁업무 등을 허용하고 중장기적으로 저축은행 자체적으로 카드를 발급하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업계의 반응은 싸늘하다. 한 저축은행 임원은 "할부금융은 이미 캐피털사가, 펀드나 신탁 등도 자산운용사 등이 장악하고 있어 허용해줘도 뛰어들기 힘들다"고 꼬집었다. TF에 참여한 금융계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은행에 비해 지점이나 인력이 달리기 때문에 새 영역을 시작하려면 시스템을 갖추는 데 비용이 많이 든다"고 지적했다.
업계는 당장 비용을 줄이거나 연체율을 낮추도록 뒷받침해달라는 입장이다. 비용 중에는 예금보험료와 대손충당금 부담을 줄여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당국은 2011년 저축은행 사태로 예금보험료에 공적자금이 투입됐으므로 줄일 수 없다는 생각이다. 충당금 적립 기준 역시 건전성 기준에 해당하기 때문에 축소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당국 관계자는 "일부 은행은 번 돈을 대부분 예보료와 충당금으로 쓴다"면서도 "어렵다고 지금 비용을 줄여주면 나중에 부담이 더 늘어난다"고 강조했다.
기존 업무인 여신을 제대로 하자는 데는 당국과 업계가 공감하지만 방법을 놓고도 이견을 빚고 있다. 업계는 대부업체가 축적한 고객신용정보를 공유해달라는 생각이지만 대부업계는 물론 당국도 부정적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 대출자의 40%는 대부업체에서도 돈을 빌리는데 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눈감고 대출해주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당국 관계자는 "대부업체가 정보를 공유하면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렸다는 이유로 저축은행 대출을 획일적으로 막는 빌미가 될 수 있다"고 반박했다.
대신 당국은 저축은행이 자체적으로 개인신용평가시스템(CSS)를 갖추도록 할 계획이다. 올 3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 평균금리(잔액)는 연 34.8%로 법정 최고금리인 39%에 육박한다. 소수 대형사를 빼고는 제대로 된 CSS가 없어 고객 대부분이 30%대 후반의 높은 금리를 물어 연체를 메운다. 업계 관계자는 "CSS를 통해 여신심사를 강화하려면 수백억원의 돈과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