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노사가 올해 기본임금을 동결키로 한 것은 여러면에서 의미가 있다. 투자확대 및 사회공헌활동 확대에 도움을 줘 경영활동의 선순환을 가능케하고, 올 노사관계의 최대쟁점으로 등장한 비정규직 문제 해결의 한 방법이라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노조활동이 온건한 기업의 임금동결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할 수도 있으나 사상최고의 실적을 올렸는데도 어려운 경제현실을 감안, 제몫찾기 주장을 자제했다는 점에서 평가에 인색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포스코의 실적은 눈부시다. 지난해 14조3,500억여원의 매출에 1조9,800억여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올들어서도 1ㆍ4분기에 매출액이 4조2,850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31%이상 늘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1조80억원, 7,200억원으로 30.2%, 53.5% 증가하는 등 순항하고 있다. 많이 벌었으니 임금도 걸맞게 올려달라고 요구할만 한 것이고 실제로 근로자대표측은 실적을 감안한 인상을 요구했다. 그러나 실업문제, 비정규직 및 중소기업 근로자와의 임금격차 해소, 투자확대 필요성을 내세운 회사측의 이야기를 받아들여 동결에 합의한 것이다.
포스코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와 사업확장을 꾀하고 있다. 앞으로 5년간 10조원 이상의 투자계획을 세워놓고 있으며 한보철강 인수도 추진중이다. 또 지역복지사업 등 사회공헌 활동도 회사가 역점을 두고 있는 분야다. 임금동결은 회사의 투자재원 조달에 보탬이 되고 사회공헌 활동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투자가 활발해지면 고용보장 가능성이 더 커지고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 실업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또 공익활동에 적극 나서면 기업의 이미지가 좋아질 것이다.
이번 임금동결은 비정규직 문제에 하나의 해결방식이 될 수도 있다. 비정규직의 차별대우는 해소돼야 할 문제지만 이는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노동계 주장대로 할 경우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이 30%나 늘어난다는 분석이 있다. 이러고도 제대로 굴러갈 기업은 많지않다. 그렇다면 기존 정규직 근로자들의 양보와 희생이 필수적이다. 이런 차원에서 기존 정규직 근로자들이 임금을 동결하고 그 돈을 비정규직 임금인상 및 복지개선에 사용토록 한다면 노동계의 주장도 명분을 갖게될 것이다. 물론 회사측도 최소한 노조의 양보에 상응하는 만큼의 비정규직 임금 및 복지 개선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포스코는 현재 자체적으로 고용한 비정규직 근로자가 없어 직접적인 처우개선의 부담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협력업체에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많은 만큼 이번 합의 정신을 살려 임금동결로 여유가 생긴 자금을 투자와 사회공헌활동 뿐 아니라 협력업체의 비정규직 근로자 처우개선에도 일조가 되기를 바란다. 포스코 노사의 이번 임금동결이 올 임금협상의 모델케이스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