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기업들의 지난 3ㆍ4분기 실적이 전분기보다 나아졌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증권선물거래소 집계 결과 지난 3분기 544개 상장 기업들의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등이 전분기보다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천정부지로 치솟던 원유를 비롯해 국제원자재 가격과 환율이 안정세를 유지한 덕이다. 특히 매출액 증가율(2.12%)에 비해 영업이익 증가율(8.88%)이 크게 높아짐으로써 기업들의 원가개선을 통한 수익성증대가 돋보인다. 더구나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이 같은 실적호전세가 4분기에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한다. 정부가 발표하는 경기 지표들마다 나아지는 게 별로 없는 터에 기업들이나마 실적이 좋아졌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이다.
중요한 것은 이 같은 기업실적호전이 경제전반으로 확산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기업들의 실적이 호전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청년실업 등 고용사정은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주요 기업들은 내년도 신입사원채용규모를 올해 수준에서 동결한다는 방침이다. 실적개선이 기업투자확대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간소비도 좀체 활력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고용과 소비가 경색되다 보니 계층간ㆍ지역간 양극화는 개선되기는 커녕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기업, 개인 모두 바짝 움츠러들어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벌어들인 돈을 재투자하기 보다는 사내에 잔뜩 쌓아두고 있다. 국내기업의 부채비율은 116%로 사상 최저 수준이다. 이는 자본선진국인 미국의 150%, 일본의 145%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다. 기업들이 지나치게 몸을 움츠리고 있는 탓이다.
기업들의 실적개선이 투자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심리적 안정책이 시급하다. 유가ㆍ환율 등 외생변수야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국내 정책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감은 해소돼야 한다. 기업투자를 가로막고 있는 수도권규제정책과 출자총액제한제도의 과감한 개선이 필요하다. 530조원으로 추산되고 있는 시중의 부동자금을 생산자금으로 유도할 수 있는 대책도 서둘러야 한다. 기업들의 실적개선이 경제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는 정책적 처방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