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기 쫙 뺀 국산과자

트랜스지방 함유량 2005년 보다 93%감소

국산 과자의 트랜스지방 함유량이 지난 2005년 대비 10분의1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해 국산 과자류 147개 제품의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1회 제공 기준량(30g)당 트랜스지방이 평균 0.05g으로 나타나 2005년 평균 0.7g에 비해 93% 감소했다고 24일 밝혔다.

트랜스지방은 콩기름ㆍ옥수수기름 등 식물성 기름을 고체상태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식약청은 트랜스지방 섭취량을 하루 섭취 열량의 1% 이하로 유지토록 권고하고 있으며 이는 ▦성인 남성 2.8g ▦성인 여성 2.2g ▦만 1∼2세 1.1g ▦만 3∼5세 1.6g에 해당한다.

트랜스지방 함량이 가장 많이 줄어든 제품군은 비스킷류였다. 비스킷류는 2005년 평균 0.9g에서 2012년 0.05g으로 94% 감소했다. 초콜릿 가공품도 2005년 평균 1.0g에서 올해 평균 0.07g으로 93% 줄었고 스낵류도 0.3g에서 0.04g으로 87% 감소했다.

올해 조사대상 중 1회 제공 기준량당 트랜스지방 함량이 0.5g을 넘는 제품은 하나도 없었고, 1개 제품만이 제품 외부에 '트랜스지방 함량 0'으로 표기할 수 있는 기준인 0.2g을 넘어섰다.

식약청 측은 "조사 제품 99%(146개)의 트랜스지방 함량이 1회 제공량당 0.2g 이하인 셈"이라며 "국산 과자를 먹을 때 트랜스지방에 대해서는 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