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떠나는 굴뚝기업들

“벤처, 벤처 할 때부터 이런 일이 생길 줄 알았어요.” 충북에 위치한 건설장비 제조업체인 D사. 20년여간 제조업 한 우물만 파오던 대표적인 `굴뚝기업`이다. 이 회사는 최근 상승하는 인건비ㆍ물류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중국 다롄 지방으로 공장이전을 결심했다. 20년 제조업 외길인생을 걸은 D사의 김모 사장은 “제조업 하는 것이 무슨 원죄인가 싶다”고 억울함을 토로한다. “따지고 보면 지난 DJ정권 때부터 벤처 거품이나 일으키면서 제조업을 헌신짝 취급한 것 빼고는 굴뚝기업을 위한 정책이 뭐가 있었습니까.” 인력 구하기는 힘든데 고용허가제다, 주5일 근무제다 해서 인건비 상승은 점점 더 심각해지는 상황. 거기에 대기업의 납품단가 인하는 거세지는 반면 정부는 이런 골치 아픈 문제를 해결하려 들지 않는다. 이러니 억울해서라도 `한국`에서는 `제조업` 하기 싫다는 얘기가 나올 만하다. 비단 김 사장의 예만이 아니다. 18일 기협중앙회 발표에 따르면 `탈(脫) 한국`을 선언한 중소제조업체가 전체의 38%에 이르고 있다. 대부분이 생산비용 상승(39.2%), 인력난(25.0%) 등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탈(脫) 제조업`을 결심한 업체들도 속출한다. 전체 25.9%가 업종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데 이중 39.2%가 `전도유망한` 서비스산업으로 이동할 계획이다. 사실 그간 정부의 각종 경제정책 방안에서 중소제조업체는 `주목받지 못하는` 존재임이 분명했다. 무엇보다도 제조업체들이 당면한 인력난 문제나 대기업의 불공정거래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내놓지 못했다. 심지어 고용허가제나 주5일 근무제 도입을 논의할 때도 제조업체 현장의 목소리는 쉽게 묻히고 말았다. 인력난ㆍ비용난을 해결할 근본 방안보다는 우는 아이 젖 주듯 단기간의 자금지원이나 대출금리 인하 및 기간유예 정도만 내놓는 것이 우리 중소기업 정책의 현주소다. 두말할 것 없이 제조업은 국가경제의 근간이자 기반이다. 전체 국가경제 중 생산과 수출의 40% 이상이 이들 제조업체가 담당하고 있다. 근본이 떠나면 국가경제 전체가 부실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더 늦기 전에 뚜렷한 비전과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제대로 된 `중기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현상경기자(성장기업부) hsk@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