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리] 광복절과 강제적 일본군 성노예


"전쟁 뒤에 남는 것은 여인의 고통뿐이다" 그리스 3대 비극 작가로 꼽히는 에우리피데스는 트로이 전쟁 뒤 '트로이 여인'들의 참혹한 비극을 그렸다. 그런데 2,500년 전 '트로이 여인들'의 비극이 얼마 전 우리 사회에서 '위안부'문제로 투영됐다.

불과 60년여 전에도 우리의 할머니 세대들은 일본의 추악한 만행의 희생자였다. 그들의 야만이 더욱 야만적인 것은 일본 정부가 여전히 공식적으로 '종군위안부'라는 말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성노예로 공인된 사실을 두고 '종군'이라는 수식어를 갖다 붙인 것 또한 일본의 후안무치이다.

최근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을 비롯해 미국 의원들이 잇따라 나서 일본군 '위안부(comport woman)'라는 표현은 '강제적인 일본군 성노예(enforced sex slaves)'라고 써야 맞다고 지적하고 있어 국제 사회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광복 67년이 흐른 지난 22일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는 1,036번째 수요 집회가 열렸다. 1992년 1월에 시작된 수요집회는 6월 1,000번째를 돌파해서 20년이 넘게 계속 되고 있다. 국제 엠네스티는 2차 세계대전 종전 67년을 맞아 "일본군 성노예제는 20세기 가장 대규모의 인신매매였으며 일본 정부는 성노예 생존자에 대해 즉각 배상하라"고 촉구했다.

같은 시기, 일본은 한국 대통령의 독도 방문을 빌미 삼아 독도를 국제 분쟁 지역으로 만들고 국내 정치에 악용하려는 속내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경제적 압박을 전방위로 시도하고 국제 사회에 호소하는 플랜도 가동한다는 소식이다.

일본의 이 같은 태도는 국제 사회의 비난을 넘어 그들이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경제 가치의 엄청난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일본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 도발 이상의 반인륜적인 '성노예 범죄'를 저질렀다는 사실이 국제 사회에 이슈화가 된다면 경제 선진국 일본 이미지의 손상은 계산하기 어려운 경제적 손실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우리 정부도 이번 계기에 일본군 '위안부', 아니 '일본군 강제 성노예' 피해자들에 대한 사과와 배상을 확실하게 해결하는 적극적 노력을 해야 한다. 일본계 3세인 마이클 혼다 미국 하원의원조차 "성노예 문제보다 왜 독도로 싸우는 것이죠?"라는 반문을 하고 있다. 우리 사회와 우리 정부에 많은 시사점을 던지는 한마디였다. '일본군 강제적 성노예'문제 해결은 독도 문제를 푸는 실마리가 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