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기업이 자본을 조달할 수 있도록 ‘사회적 거래소’를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회적기업의 날을 맞아 SK의 주최로 1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영향투자 자본시장 포럼’에서 노희진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국내 사회적기업이 대부분 국가 예산에 의존한 공적지원을 받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은 불가능하다”며 “사회적 거래소를 설립해 사회적 기업의 성격에 맞는 다양한 재원의 공급이 가능한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 연구원은 이어 “사회적 기업들이 공신력 있는 사회적 거래소를 통해 다양한 자금을 조달받을 경우 사회적기업 자체의 공신력도 높아질 뿐 아니라 시장 친화적인 자금조달 창구가 만들어지면서 자생력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회적 거래소는 사회적기업이나 사회적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투자자와 사회적기업을 연결해주는 자본 거래소다. 전문가들은 이날 회의에서 사회적 거래소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박창균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초창기에는 기부형 투자자가 사회적 거래소에 등록된 사회적기업 가운데 기부 목적에 맞는 프로젝트에 자금을 직접 배정할 수 있는 방식을 우선 도입해 사회투자 문화를 확산하고 정착시켜야 한다”며 “사회적 거래소에 대한 경험을 쌓은 이후에는 투자원금은 물론 수익금까지 돌려받을 수 있는 사회적 거래소 형태가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왕윤종 SK그룹 사회적기업팀 전무는 “한국사회는 양극화, 사회적 소외, 환경오염 등 다양한 사회문제로 인해 경제적ㆍ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한국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방해가 되고 있다”며 “SK가 표방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이번과 같은 전문가 포럼을 지속적으로 개최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법을 찾아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사회적 거래소 설립과 관련, 최태원 SK㈜ 회장은 지난해 4월 서울에서 열린 포럼에서 사회적 증권시장 도입을 강조했다. 지난해 6월 브라질 포럼에서는 전 세계의 사회적기업가와 투자자, 전문가, 정부 등이 자금과 혁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글로벌 액션 허브’ 구축을 제안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