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수주호조가 이어지고 있다. 올 들어 3월까지 누적 수주액은 125억달러로 지난해보다 56% 증가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목표액 700억달러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주액 증가도 반가운 일이지만 중동 편중에서 벗어나 지역적으로 다변화할 조짐을 보인다는 점이 특히 고무적이다. 좀 더 지켜봐야 하겠으나 1ㆍ4분기 아시아 수주비중(58.4%)이 전통적 텃밭인 중동(37%)을 제친 것은 긍정적 신호다.
해외 건설은 지난해 누적 수주액 5,000억달러를 돌파하면서 1970년대 이후 최대 황금기를 구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갈 길은 멀다. 전체 수주의 70%를 차지하는 플랜트 편중현상을 줄여야 할 뿐만 아니라 지정학적 리스크를 감안해 수주지역을 다변화하는 것도 긴요한 과제다.
때마침 정부에서도 정책자금 지원을 늘려 수주저변 확대에 박차를 가하기로 해 기대감을 갖게 한다. 정부가 3일 시장개척 지원 대상에서 컨소시엄이 아닌 경우를 제외하곤 대기업을 배제한 것도 중소기업 지원 확대뿐만 아니라 수주지역 다변화 차원으로도 이해된다. 정보력과 전문인력이 부족한 중소업체로서는 아무래도 대기업이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한 틈새시장 공략이 필수적이다.
정부는 정책자금 지원에 그칠 게 아니라 우리 건설업체 간의 해외 출혈경쟁을 방지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국내 건설시장 침체의 여파로 우리 건설업체가 해외무대에 앞다퉈 뛰어들어 덤핑 입찰을 일삼고 있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2008년 3,407개에 그쳤던 해외 건설업체는 지난해 말 5,735개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올 들어서도 하루에 한 개꼴인 100개가 늘어났다. 정책자금은 경쟁이 심한 중동 같은 곳보다 잠재력이 큰 아프리카와 중남미 같은 신흥지역에 우선 배정해야겠지만 옥석 가리기와 부실업체 솎아내기도 지속적으로 병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