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내부거래 비중이 오히려 늘고 있다. 비상장사나 총수 지분이 높은 계열사일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았다. 시스템통합(SI), 물류, 광고 등 총수 지분이 높은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주는 행태도 심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30일 발표한 대기업집단 내부거래 현황을 보면 46개 대기업집단 매출액(1,407조원) 가운데 계열사에 대한 매출액(186조원) 비중은 작년 말 기준 13.2%였다. 이는 2010년 말(12.0%)보다 높아진 수치다.
비상장사(1,136개)의 내부거래 비중은 24.5%로, 상장사(237개ㆍ8.6%)의 세 배에 달했다. 비상장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전년 말보다 1.9%포인트 높아졌다.
총수가 있는 대기업집단(38개)의 내부거래 비중은 13.6%로 총수가 없는 집단(8개)의 11.1%보다 더 높았다. 총수가 있는 집단 중 상위 10개 집단의 내부거래 비중은 14.5%로 전년 말(13.2%)보다 높아졌다. 내부거래 금액은 139조원으로 30조원이나 급증했다.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집단은 STX(27.6%), SK(22.1%), 현대자동차(20.7%) 순이었다. 내부거래 금액이 많은 집단은 삼성(35조원), SK(34조원), 현대차(32조원), LG(15조원), 포스코(14조9,000억원) 순이었다.
이들 상위 5개 집단의 내부거래 금액 합계는 132조원으로 46개 전체 집단의 70.9%를 차지했다. 이는 5개 집단 매출액이 전체 집단에서 차지하는 비중(54.9%)보다 높은 수치다.
대기업집단 계열사 중 2세 지분율이 50% 이상인 경우 내부거래 비중은 56.3%에 달했다. 이들 계열사는 시스템통합(SI), 부동산, 광고대행, 물류 등 ‘일감 몰아주기’ 행태로 비판받았던 업종에 많았다.
내부거래 때 수의계약으로 거래 상대방을 선정한 사례는 89.7%에 달했다. 특히 SI, 물류, 광고 등의 수의계약 비중은 91.8%에 달해 경쟁입찰 비중이 10%에도 못 미쳤다. 내부거래 때 대금결제 방식은 절반 이상(54.5%) 현금을 사용했다.
/온라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