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테크노 시대를 연다] <5> 웰빙시대 이끈다=소비재 산업

친환경 식품시장 '1兆시대' 도래…유기농 채소 앞세워 매년 40%이상 초고속성장
가전산업도 R&D·기술차별화로 시장선점 총력‥소비자 불신 씻는 검증체계 확립시급


[에코테크노 시대를 연다] 웰빙시대 이끈다=소비재 산업 친환경 식품시장 '1兆시대' 도래…유기농 채소 앞세워 매년 40%이상 초고속성장가전산업도 R&D·기술차별화로 시장선점 총력‥소비자 불신 씻는 검증체계 확립시급 • 친환경인증 농산물 2010년 10%로 확대 에코테크노가 경쟁력의 원천 '굴뚝'도 에코테크노 시대=철강·화학 에코테크노로 세계를 제패한다=전자 미래를 달린다=자동차 극심한 내수불황에 허덕이고 있는 대한민국. 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자극하는 거의 유일한 키워드는 바로 ‘건강’과 ‘웰빙’이다. 백화점을 비롯한 대부분 유통업체들이 매출 감소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유기농 채소 및 과일, 웰빙 가전 등 친환경 웰빙 제품들은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최근 ‘새집증후군’등 이른바 ‘환경의 역습’이라 불리는 현상들이 생겨나면서 의식주 전 분야에 걸쳐 에코테크노가 확산되고 있다. ◇급성장하는 친환경 식품ㆍ가전시장= ‘웰빙’열풍으로 친환경 식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친환경 식품시장은 연간 3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2년 6,650억원, 2003년 8,348억원에서 올해는 1조원을 훨씬 넘는 1조928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세계적으로도 친환경 식품시장은 매년 40% 이상 고성장하는 추세이며, 미국의 경우 지난 1999년 65억달러, 2000년 80억달러를 형성했고 유럽과 일본은 지난 2000년에 각각 53억달러, 30억달러 규모에 이어 오는 2010년에는 460억 달러, 110억 달러 선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급성장하는 시장을 잡기위해 CJ, 풀무원, 해찬들 등 대표적인 국내 식품업체들이 무농약 친환경 신선채소를 비롯, 유기농 채소를 사용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백화점, 할인마트, 인터넷쇼핑몰들도 유기농가와 제휴해 공급받은 친환경 채소ㆍ과일류들을 진열대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공기청정기, 정수기, 연수기 등 ‘웰빙’을 표방한 친환경 가전산업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웅진코웨이, 청호나이스, 위니아만도, 청풍 등 각 업체들은 연구개발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며 기술차별화를 통한 시장선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로 각 업체들은 전체 매출의 8~10%가량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우수인력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환경가전업계 선두업체인 웅진코웨이의 경우 지난해 102억원이었던 연구개발비를 올해 209억원으로 2배 이상 늘렸고, 연구인력도 20여명을 충원했다. 올해도 이달 초부터 50명의 연구원들을 채용하기위한 공채를 진행 중이다. 그 결과 각 업체별로 다량의 국제 특허를 획득, 정수기 등의 기술은 세계적인 회사들과 어깨를 견주어도 별 차이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불신 키우는 검증시스템 개선해야= 친환경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갑자기 커진 만큼 품질과 성능을 검증할만한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게 현실이다. 최근 잇따라 터진 풀무원의 ‘유기농 녹즙’사건이나, 소비자보호원의 공기청정기 성능실험 결과 등은 검증시스템 부재를 보여주는 한 단편이다.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농산물의 인증업무는 농림부 산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과 ‘흙살림’, ‘한농복구회’ 등 민간인증기관 8곳이 맡고 있다. 민간기관은 인증 및 생산과정 조사를 담당하고, 사후관리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맡는다. 친환경 농산물의 품該誰蔓?유기합성 농약과 화학비료의 사용 여부, 사용량에 따라 이뤄지는데 권장량과 살포 횟수만 규정해 화학비료와 농약의 총 사용량이 명확하지 않다. 인증과정에 비료 사용량, 농약 살포 횟수 등을 적은 농민들 스스로 적은 영농일지로 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할 뿐이다. 사후관리 부실은 더욱 심각하다. 전국 9개 지원에 84개 출장소를 둔 국립농산물관리원에서 인증과 사후관리 업무를 전담하는 인원은 100여명에 불과하다. 친환경 농산물 인증을 받은 농가가 2만5,400곳 가량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1명당 250곳 농가를 담담하고 있는 셈이다.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서부터 시판에 이르는 전 과정을 살피는 방문조사는 사실상 어려운 셈이다. 환경가전 분야도 사정은 마찬가지. 공기청정기의 경우 각 업체별로 자율적으로 성능인증을 받다보니 어느 기관에서 품질검증을 받는지 조차 확실하지 않은 제품들이 시중에 활개를 치고 있는 형편이다. 여기에 각 업체들의 확대포장 광고마저 더해져 소비자들은 혼란스럽다.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식품 및 환경가전제품에 대한 소비자 불신은 과거 ‘쇳물 녹즙기 파동’, ‘만두 파동’에서 보듯 관련 산업을 한 순간에 무너뜨릴 수도 있다. 업계관계자는 “웰빙 상품의 경우 실제 기능을 입증하고 성능을 강조하기 보다 마케팅과 유행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각 분야별로 학계, 업계, 정부가 참여하는 믿을만한 인증기관 시스템 및 제도적장치를 하루빨리 설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민형 기자 kmh204@sed.co.kr 입력시간 : 2004-11-15 18:17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