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6월 8일] 유로존 재정위기의 두 얼굴

SetSectionName(); [기자의 눈/6월 8일] 유로존 재정위기의 두 얼굴 김희원기자(국제부) heewk@sed.co.kr

남유럽 재정위기가 헝가리로 번질 수 있다는 공포로 전세계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헝가리 관료 입에서 나온 재정적자 확대 가능성 발언이 그리스 사태를 연상시켰기 때문이다. 유럽의 재정위기가 5개월째 지속되고 있지만 달러 리보를 비롯한 위기 관련 지표의 등락폭은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미미한 수준이다. 또한 지난 위기가 유동성 경색에서 소비 위축, 기업실적 급락 등 실물 경기 위축으로 이어졌던 것과는 달리 실물 경제로 파급되고 있다는 신호도 아직은 찾기 힘들다. 유로존은 금융위기 당시 헝가리ㆍ아일랜드ㆍ아이슬란드 지원을 끝까지 외면했지만 그리스 구제를 위해서는 하룻밤 사이에 뭉쳤다. 헝가리 등에 대한 채권은 주로 북유럽 은행이 손에 쥐고 있지만 그리스 국채는 독일ㆍ프랑스 등이 갖고 있다는 게 그 이유였다. 유럽이 이런 사정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지금의 '호들갑'을 주도하는 것은 조금 과한 측면이 있다. 그리스 사태를 전후로 나타난 특징은 국제 투자자금이 유로캐리 트레이드와 신흥국 국채로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돌이켜 보면 지난 2년간 가치가 큰 폭으로 등락한 자산은 자산은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달러(약세)와 신흥통화(강세), 회사채와 정크본드, 주식 등 매우 다양했다. 그러나 모두 투기 유도세력이 배후에 있었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 난 후에는 뒤안길로 사라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선진국 모두가 초저금리인 상황에서 유로캐리가 더 지속되려면 차입 통화인 유로화 가치가 앞으로도 약세를 띨 것이라는 전제가 필요하다. 유로약세(달러 강세)가 미국과 유로존에 '호재'일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미국은 기축통화 유지를 위해 달러 강세를 원하고 유로존은 약소국의 빚이 줄어드는 효과를 만들기 위해 금리 동결이 필요하다. 금융 부문이 크게 개방된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이 공포를 확대 재생산하면 '없는 위기'도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위기에서 '선 구조조정'의 효과를 누린 한국이 가장 먼저 위기 우려에 시달리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지나친 부화뇌동이 가져다줄 역효과도 감안한 대응이 필요한 때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