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의 지방균형발전 전략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수도권 집중 현상은 오히려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탄 제2신도시 등 참여정부의 신도시 정책이 경기도에 집중되면서 신도시에 맞춰 인력 등이 대거 이동하면서 이 같은 현상은 더욱 고착화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최근 4년(2003~2006년)간 만들어진 신규 일자리 중 경기도 비중이 매해 상승, 지난해에는 100개 중 23개가량이 경기도에 만들어졌다. 반면 지방 일부 지역에서는 취업자가 오히려 줄어드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일자리 쏠림현상은 산업별로도 나타나고 있다. 대다수 지역에서 제조업 취업자가 줄거나 보합세를 보이고 건설업 일자리도 줄고 있는 가운데 신규 일자리가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에 집중되고 있는 것. 한국경제가 성장동력을 상실하면서 연간 30만개 일자리 창출도 버거워하고 있는데 이 같은 일자리 쏠림현상을 고려하면 그나마 늘어난 잡(Job)도 일부 지역ㆍ산업이 독식하고 있다는 의미다. 3일 재정경제부ㆍ통계청 등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신규 일자리 창출 규모를 의미하는 취업자 증가율이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실제 이 기간 동안 전국 평균 4.6%의 취업자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경기도는 무려 13.1%를 기록했다. ◇전국 취업자 23% 경기도, 전라ㆍ경북 취업자 마이너스=2003~2006년 취업자 증가율을 보면 격차가 너무 크다. 수도권이라도 경기도가 13.1%를 기록한 데 비해 서울 3.2%, 인천 4.2% 등을 보였다. 지방에서는 충남(7.2%)을 빼놓고는 초라하기 그지없다. 부산광역시는 최근 4년간 취업자가 161만명에서 162만명으로 1.1% 늘었다. 대구광역시는 2.5%, 대전은 3.4%, 울산은 3.8% 등으로 전국 평균에 도달하지 못했다. 강원도는 2.4%, 충청북도는 2.8%, 제주도는 2.8% 으로 지방은 3%대도 못 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라북도는 취업자가 2003년 83만명에서 2006년 82만명으로 1.0% 줄었다. 전라남도는 이 기간 동안 4만명(감소폭 –4.2%)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경상북도도 4년 새 7,000여명의 일자리가 줄었다. 4년 새 취업자는 101만명 늘었다. 지역별 편차를 고려하면 경기와 충청남도, 그중에서도 경기도(4년간 신규 일자리 60만개)에 일자리가 몰려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한해 취업자에서 경기도 비중이 2003년 20.9%에서 매해 상승, 지난해에는 22.6%까지 상승했다. 일자리 100개 중 23개가량이 경기도에 만들어진 셈이다. ◇산업별로도 쏠림,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에 집중=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부진이 눈에 띈다. 이런 가운데 건설업 취업자도 참여정부 들어 크게 감소한 것이 눈에 띄는 특징이다. 실제 제주도 지역은 건설업 취업자가 2003년 2만5,000명에서 2006년 2만명으로 20.1% 줄었다. 대전광역시도 같은 기간 동안 이 분야 일자리가 6만7,000개에서 6만여개로 감소하기도 했다. 울산광역시 건설업 취업자 감소폭이 15.0%를 기록하는 등 전라도 등 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부진을 면하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서비스 중에서도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 분야는 일자리가 크게 늘어 대조를 이뤘다. 전지역에서 이들 분야의 일자리가 일제히 상승했다. 실제 이들 분야의 4년간 취업자 증가율을 보면 제주도 30.5%, 충청남도 33.4%, 충청북도 24.0% 등으로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다른 서비스는 답보 상태이거나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경제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부가가치나 생산성으로 볼 때 서비스업은 매우 낮은 상황인데 일자리 쏠림 현상은 인적자원 배분 효율성에도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