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세상] 한국경제 성장 원동력은 옛 과거제도?

■ 선비평전 (이성무 지음, 글항아리 펴냄)


일본에 '무사도', 영국에 '신사도', 미국에 '청교도'가 있다면 조선에는 '선비'가 있었다. 선비란 어떤 사람인가. 학문을 닦는 사람이요, 학식이 있으나 벼슬하지 않는 사람이며, 학식이 있되 인격 역시 고결하고 근엄ㆍ강직한 사람을 선비라고 했다. 이성무 전 국사편찬위원장은 조선의 500년 역사를 떠받친 선비 정신의 뿌리를 이 책을 통해 밝히고 있다. 저자는 선비정신을 가리켜 "도학을 연구하는 지식인으로서 인격이 고결해야 하고 청렴결백, 근엄 강직해야 하며 예의염치를 지켜야 하고 부모에게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하고 의로운 일에 목숨을 거는 것"이라고 정의내린다. 조선은 전술보다 전략이 더 중요하다는 '명분'으로 군(軍)사령관도 문신(文臣)이 차지한 '선비국가'였다. 따라서 이 같은 선비 정신이 바로 조선 왕조 흥망성쇠의 관건이었다. 조선 왕조가 500년의 긴 시간을 이어온 것은 조선 사대부의 선비정신이 있었기 때문이며 외척의 세도정치로 선비정신이 무너지자 나라가 망국의 길로 들어서고 말았다는 것이다. 책은 왜 조선에 선비계급이 등장했는지, 때로는 왕의 권력까지도 압도한 선비 지배 체제의 특징은 무엇인지 총체적으로 조명한다. 특히 저자는 한국이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원동력의 하나로 선비의 등용문인 과거제도를 꼽는다. 능력위주의 선발방식이었던 과거제도로 생겨난 능력주의, 경쟁주의가 이른바 '한국인의 DNA'가 됐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조선시대 여러 선비들의 '재발견'이 눈길을 끈다. 노비 출신 형조판서 반석평 같은 신분의 벽을 뛰어넘어 선비의 기개를 보여준 이들이 있는가 하면 이황을 꾸짖은 이준경, 목숨 걸고 지도자의 모습을 보여준 오윤겸 등이 소개됐다. 충절의 대표적 사례로 꼽히는 '사육신' 이야기도 사실은 수양대군의 전제군주적 행보에 맞선 선비들의 권력투쟁 사건이었다는 저자의 흥미로운 해석도 만날 수 있다. 1만8,500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