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따른 인력 감소, 여성ㆍ장년층 활용해야”

한경연 보고서 “2019년부터 핵심근로인력 감소 시작”…유연근무제 등 도입 필요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현상을 여성과 장년층 인력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극복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7일 발표한 '저출산 시대에 대비한 기업의 인력 활용'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정부가 다양한 형태의 근로가 가능하도록 노동시장의 여건을 정비하고, 기업은 인력확보를 경쟁력 제고의 핵심으로 인식해야만 노동력 부족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달 23일 인구 5,000만명을 넘어서며 세계에서 7번째로 '20-50클럽(국민소득 2만 달러, 인구 5,000만명)'에 가입했다. 이를 통해 일정 수준의 내수시장을 확보하면서 안정적인 성장 기틀을 마련했지만 2011년 기준 합계출산율(1.24명)은 여전히 현 인구 유지에 필요한 대체출산율(2.1명)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이러한 저출산 현상으로 우리나라의 핵심근로인력(20~64세)은 오는 2019년부터 감소하고 2050년에는 1987년 수준인 2,345만명에 그칠 전망이다.

보고서는 노동력 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여성과 장년층 인력의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15~64세)의 경제활동참가율(54.5%)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여성 평균(61.8%) 수준으로만 올려도 약 128만명의 추가적인 노동력 확보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는 전체 경제활동참가율을 2010년 기준 65.8%에서 69.4%까지 끌어 올릴 수 있는 규모다. 또 미래 고령층에 해당하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경제활동참가율도 2009년 77.5%로 OECD 평균 80.2%보다 낮은 실정이다.

한편 보고서는 "여전히 경직된 장시간 근로와 자녀교육 부담으로 많은 여성들이 경제활동을 포기하고 있다"며 "기업들은 정확한 직무분석을 통해 재택 및 이동 근무, 스마트워킹센터 활용 등의 유연한 근로형태를 많이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이어 "기업들은 이미 사내 인적자본 승계 시스템을 활용하거나 대기업 은퇴 중견전문인력의 재취업을 지원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러한 노력을 더욱 활성화하려면 정부가 제도 및 규제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다양한 형태의 근로가 가능한 노동시장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