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12월 4일] 구제역 예방체계 다시 정비해야

안동 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口蹄疫)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방제활동 강화가 요구된다. 지금까지 구제역 발생건수가 9건으로 늘어난 가운데 살처분해 매몰한 가축도 5만4,000마리에 이르는 등 피해규모가 갈수록 늘고 있다. 지난 4~5월의 강화 김포 지역 구제역 때 살처분한 5만마리를 넘어섰다. 아직까지는 안동권을 벗어나지 않은 것 같지만 구제역은 전파속도가 빨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앞으로 며칠간이 고비라는 점에서 철저한 방역으로 확산을 막아야 한다. 이번 구제역은 겨울철이라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ㆍ돼지 등 발굽이 두 개로 갈라진 동물에 발병하는 구제역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는 1종 전염병이다. 발병하면 입ㆍ발굽에 물집이 생기며 심하게 앓다가 죽는다. 이번 안동 구제역은 소보다 전파속도가 3000배 이상이나 빠른 돼지농장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큰 피해가 우려된다. 전염 가능성이 있는 곳의 소와 돼지 등을 공격적으로 살처분 매몰하는 수밖에 없다. 그동안의 경험에 비춰 구제역은 사료운반차 및 직원, 가축농장 관계자 및 농장 출입자 등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도에 따르면 안동 지역 일부 축협조합장 등이 악성가축질병 발생국인 베트남 여행 후 제대로 검역을 받지 않고 입국하는 등 방역에 큰 구멍이 뚫렸다. 4월 발생한 강화 구제역도 역학조사 결과 해외여행을 다녀온 농장주가 유력한 원인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검역 및 방역 시스템이 얼마나 엉성한가를 여실히 보여준다. 구제역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해외유입 경로를 차단해야 한다. 그러나 축협조합장을 비롯한 일선 관련자들조차 구제역 예방을 위한 검역 및 방역에 대해 경계심이 없다는 것은 큰 문제다. 올 들어 구제역 발생건수는 경기 포천ㆍ김포 및 강화에 이어 안동까지 4건이나 되고 지역으로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는 추세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구제역 예방을 위한 검역체계를 다시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일단 구제역이 발생하면 발생지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방역 시스템을 구축하고 필요할 경우 지역 전체를 유기적으로 묶은 검역 및 방역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 피해농가 보상 등 사후처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