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건용 산업은행총재 사표 파장] 시중은행장도 임기무관 사퇴할듯

`관료들을 태운 낙하산 부대가 금융권에 본격 착륙할 것인가` 재정경제부와 금융감독위원회 등 경제부처 인사가 가닥을 잡으면서 금융권이 `도미노식 인사태풍`의 사정권에 접어들기 시작했다. 특히 정건용 산은총재의 사퇴를 시발로 다른 국책은행장과 유관 기관장은 물론이고 일부 시중은행장까지 능력이나 임기와는 무관하게 조만간 사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에 대해 새 정부도 과거 정부와 다름 없이 `정권이 바뀌면 국책기관장도 바뀌는 원칙(?)`을 당연시하면서 낙하산인사의 구태를 답습하고 있다며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한 시중은행장은 “국내외 금융환경이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인사파문`으로 경영에 큰 공백이 생기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걱정하기도 했다. ◇“다음은 누구?”…은행장들 좌불안석= 정 총재가 전격적으로 사표를 제출하자 다른 은행의 경영진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임원은 “그동안의 관례로 볼 때 산은 총재의 교체로 상당수 은행장의 교체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대부분의 은행들이 가동 가능한 정보라인을 총동원해 관가의 동향을 살피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상당수 국책 금융기관장과 공적자금투입은행을 비롯한 시중은행장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퇴진 압력`을 받아 왔다. 이영회 수출입은행장의 경우 재경부 인사와 맞물려 중도하차 또는 신명호 ADB(아시아개발은행) 부총재로 이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어 왔고 김종창 기업은행장이나 이덕훈 우리은행장, 이강원 외환은행장 등 정부의 인사 영향권 내에 들어 있는 은행장들의 교체설도 끊이질 않았다. 이 중 일부는 결국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자리에서 물러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경우 대부분 경영에 큰 문제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정권교체 이후 `퇴진압력`에 시달려 왔다는 점에서 정부의 `은행장 흔들기`가 도를 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낙하산인사 `사정권이 없다`= 은행장 뿐만 아니라 정부 산하기관이나 각 협회 등 유관기관들도 낙하산 인사의 `착륙지`로 지목 받기는 마찬가지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관료들의 세대교체 폭이 큰 탓에 모든 정부 산하 기관과 은행들이 고려대상이 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관가 안팎에서는 이미 `누가 어느 자리를 노리고 있고, 누구는 어느 자리로 이동할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한 상태다. 정부의 유관기관장 인사는 이미 코스닥 위원장에 대한 기습인사로 시작됐으며 조만간 정부산하 기관으로 폭 넓게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연원형 자산관리공사 사장의 경우 임기가 많이 남은 데다 공금유용 혐의에 대해서도 무혐의 처분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벌써부터 금감위 상임위원 중 한 사람이 이동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이인원 예금보험공사 사장도 특별한 사유 없이 후임 하마평에 시달리고 있다. 한 때 `재경부 2부리그`로 불려 왔던 증권업계 유관 기관장이나 각 협회장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증권전산이나 증권금융 사장, 상호저축은행중앙회 회장 등도 이미 퇴진압력을 받고 거취를 고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대체 언제까지…”금융권 거센 반발= 금융권에서는 정권교체와 관료들의 세대교체로 금융권에 불어 닥치고 있는 이 같은 낙하산 인사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국책은행의 한 임원은 “정권이 바뀌면 국책기관장들도 바뀌어야 한다는 관행이 참여정부에서는 없어지길 바랬는데 이번에도 어김이 없다”며 “임기나 능력에 상관 없이 이뤄지는 인사풍토에서 과연 누가 전문성을 갖고 책임 있게 업무를 추진하겠느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실제로 산업ㆍ수출입은행을 비롯한 국책은행 노조와 증권유관기관 노조들은 낙하산 인사에 대응해 총파업도 불사하겠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어 앞으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금융연구원의 한 관계자도 “시도 때도 없이 자리를 흔들어 대면서 책임경영을 요구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경영상 흠이 없다면 임기를 보장하는 게 인사의 기본원칙”이라고 지적했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